[스크랩] 현대사 공부를 하게된이유. 중국이 세계에 내놓고 자랑하는것이 사마천의 역사 기록서 사기라는 책이라고한다. 역사의 기록을 소중하게 보존하는 것은 세계사 속의 그어떤 민족에 있어서도 현재의 결과를 많들어준 생생한 교훈을 담은 보물이자, 끊임없이 번영해 나아가야 할 후대, 미래를 담보할수 있는 소..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일본 관동군 출신 간수들 일본 관동군 출신 간수들 (서프라이즈 / 미미 / 2009-11-28 10:16) 전 인민군 종군기자 수기 이인모 (주) 월간 말 일본 관동군 출신 간수들 7년형을 선고받은 나는 광주형무소를 거쳐 대전형무소로 갔다가 대구의 육군형무소로 옮겨졌다. 대구육군형무소는 대구 동촌에 있었는데 일본인 ..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10/27 진화위 국제 심포지엄 10/27 진화위 국제 심포지엄 이름 : 범국민위 작성일 : 2009-10-28 조회수 : 209 file1 : 23.gif 2009년 10월 27일 화요일에 매경미디어센터 12층 강당에서 진실화해위원회가 주최한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됐습니다. 진실화해위원회 안병욱위원장의 ‘한국 진실화해위원회 활동의 성과와 과제’..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민간인학살 문제 왜,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나 2000.6.12 민간인학살 문제 왜,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나 김 동 춘 (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1. 전쟁의 세기에서 평화와 인권의 세기로 분단 55년, 휴전 47년만에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다. 양 정상은 14일 5개 조항의 합의문을 발표하였는데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민간인학살 문제 왜,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나 2000.6.12 민간인학살 문제 왜,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나 김 동 춘 (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1. 전쟁의 세기에서 평화와 인권의 세기로 분단 55년, 휴전 47년만에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다. 양 정상은 14일 5개 조항의 합의문을 발표하였는데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범국민위원회에서 온 편지 진실화해위원회 가 아니라 진실은폐왜곡 무마 위원회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알만한 사람 다 아는일 140-190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 445-8 3층 │ 전화 02-773-5158 │ 전송 02-773-5158 E-mail : genocide2002@hanmail.net │ 홈페이지 http://www.genocide.or.kr ■ 문서번호 : 제09-외54호(2009년 12월 11일) ■ ..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군·경에 학살된 보도연맹원 4934명 확인” 최대 20만명 추정 “군·경에 학살된 보도연맹원 4934명 확인” 진실화해위, 정부차원 첫 조사…2570건 처리 완료 “이승만정권 최고위층 명령 판단”…최대 20만명 추정 김민경 기자 » 한성훈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집단희생조사국 팀장이 26일 오전 서울 충무로 진실화해위 대회의..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민간인학살` 유족들, 진실화해위 활동 `연장` 호소 '민간인학살' 유족들, 진실화해위 활동 '연장' 호소 "법 개정 통해 미신청 사건 접수 및 조사해야" 2009년 12월 14일 (월) 20:22:31 고성진 기자 kolong81@tongilnews.com 한국전쟁 전후 공권력에 의해 불법적으로 희생된 '민간인 피학살자'의 유족들은 14일 미신청된 사건에 대한 추가 신청 접수..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
[스크랩] 문경석달동 민간인 집단학살 조사 결정요지 제2장 집단희생규명위원회 2007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361 문경 석달 사건 【결정사안】 1949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정오 무렵, 국군 제2사단 제25연대 제2대대 제7중대 제2소대 및 제3소대 소속 군인 70여 명이 경상북도 문경군(현 문경시) 산북면 석봉리 석 달마을 앞 논(제1현장)과 .. 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201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