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代杖)
안주의 한 백성이 볼기로 매품을 팔아서 살아갔다.
외군(外郡) 아전이 병영(兵營)에서 곤장 7대를 맞게 되매 돈 5 꿰미를 걸고 대신 매맞을 사람을 구하였다.
그 매품팔이가 흔연히 나섰다.
집장(執杖) 사령(使令)은 그 자가 자주 나타나는 것이 얄미워서 곤장을 혹독하게 내리쳤다.
매품팔이는 곤장이 갑자기 사나와질 것을 생각지 못했던 터이라 우선 참아 보기로 하였다.
두 번째 매가 떨어질 때 도저히 견뎌낼 수 없어 얼른 다섯 손가락을 꼽아 보였다.
5꿰미의 돈을 뒤로 바치겠다는 뜻이었다.
집장 사령은 못 본 척하고 더욱 치도곤을 내려놓았다.
곤장 7대가 끝나기 전에 자기는 벌써 죽게 될 것임을 깨달았다.
재빨리 다섯 손가락을 다시 펴 보았다.
뒤로 먹이는 돈을 배로 올리겠다는 뜻인 줄 알 것이었다.
그로부터 매는 아주 가볍게 떨어졌다.
매품팔이는 나와서 사람들을 보고 뽐냈다.
"내가 오늘에야 돈이 좋은 줄 알았어. 돈이 없었으면 오늘 나는 죽을 사람이었어."
매품팔이는 10꿰미로 죽음에서 면한 줄은 알고 5꿰미가 화를 불러 온 것은 모르는구나.
어리석은 촌사람이다.
이보다 더한 일이 있었다.
형조(刑曹)의 곤장 백 대는 속전(贖錢)이 7꿰미였고, 대신 매를 맞아 주는 사람이 받는 돈도 마찬가지였다.
대신 매맞기로 살아가는 자가 있었다.
그는 무더운 여름날에 백 대 품을 하루 두 차례나 팔고 비틀비틀 자기 집을 찾아갔다.
그 여편네가 또 백 대 품을 선셈으로 받아 놓고 있었다.
남편을 보고 기쁜 듯이 말하였다.
사내는 상을 찌푸리고
"내가 오늘 죽을 똥을 쌌어. 세 번은 안 되겠네."
여편네는 돈이 원통해서,
"여보, 잠깐 고통을 참으면 여러 날 편히 배불릴 수 있잖수. 그럼 얼마나 좋우.
돈이 천행으로 굴러온 걸 당신은 왜 굳이 마다허우."
하고 술과 고기를 마련해서 대접하였다.
사내는 취해서 자기 볼기를 쓰다듬고 허허 웃으며,"옳거니."하고 나갔다.
가서 다시 곤장을 맞다가 그대로 즉사하고 말았다.
그 후 여편네는 이웃의 미움을 사서 구걸도 못 하고 길에 쓰러져 죽었다.
슬프다. 위의 두 이야기는 족히 세상에 경계가 될 것이다.
<발췌하고 편집한 글>
'관심사 >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뒷모습(背影) (0) | 2012.04.12 |
---|---|
훈조막(熏造幕) (0) | 2012.04.12 |
원망(怨望)이란 무엇인가 (0) | 2012.04.12 |
楓嶽贈小菴老僧幷書/이이 (0) | 2012.04.11 |
선비와 독서 (0) | 201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