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후집 제56장 이 몸이 다 내가 아님을 안다면 어찌 번뇌가 침노하겠는가
世人只緣認得我字太眞 故多種種嗜好 種種煩惱 세인지연인득아자태진 고다종종기호 종종번뇌 前人云, 不復知有我 安知物爲貴 전인운, 불복지유아 안지물위귀 又云, 知身不是我 煩惱更何侵. 眞破的之言也 우운, 지신불시아 번뇌갱하침. 진파적지언야 세상 사람은 다만 나만을 고지식하게 안다. 그러므로 갖가지 기호와 번뇌가 쌓이나니, 옛사람이 이르되 '나 있음을 또한 알지 못하면 어찌 물物의 귀함을 알리오'라 했고, 또 이르되 '이 몸이 나 아님을 알면 번뇌가 다시 어찌 침범하리오'라고 했으니 참으로 적중한 말이로다. 해설 사람마다 자기 중심적으로 살 때 온갖 아집이 생기고 남에 대한 증오가 생기어 번뇌가 일게 마련입니다. 불교에서 설파하는 무아(無我)란 먼저 자기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 중심적으로 살라는 것입니다. '네 자신을 부인하고 나를 따르라'고 한 예수의 말씀을 소중히 여김은 자기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라는 가르침입니다. '나'에 대한 본능적 집착에서 벗어나야만 번뇌도 사라지고 가는 곳마다 축복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옛사람 운운(云云)은 도연명(陶洲明)의 시를 인용한 것입니다
출처 : 추억속으로
글쓴이 : 그림자 원글보기
메모 :
'관심사 >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글자 한 자 몰라도 시심(詩心)이 있는 사람은 시의 참맛을 안다 (0) | 2012.03.13 |
---|---|
[스크랩] 꽃은 화분에 심어 놓으면 생기를 잃게 된다. (0) | 2012.03.13 |
[스크랩] 골짜기를 메우기는 쉽지만 사람 마음을 채우기는 어렵다. (0) | 2012.03.13 |
[스크랩] 달빛은 연못에 비취되 물에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0) | 2012.03.13 |
[스크랩] 아른거리는 안개와 물에 비치는 그림자가 최고 그림이다. (0) | 201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