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고서화(古書畵)

[스크랩] 울주 반구대 암각화

감효전(甘曉典) 2012. 3. 12. 19:44

                  (울주 반구대 암각화)

 

 

▲  반구대 암각화,  신석기, 울산 울주 대곡리, 위: 고래 그림부분. 아래: 전체

 

국보 제285호 반구대 암각화가 보존 문제로

관계자들을 고민 속에 빠트리고 있다.

 

울산시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이 암각화는

1971년 태화강 상류에 식수를 위해 만든 사연댐 주변의

문화재를 조사하던 동국대 문명대 교수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폭 8m 높이 4m의 암벽에 고래, 사슴, 호랑이,

멧돼지 등 동물 모습과 활을 쏘는 사람 등

인간 모습이 무려 230여 점이나 새겨져 있다.

 

이는 어로(漁撈)와 수렵(狩獵)으로 삶을 꾸려갔던

선사시대인들이 풍요를 기원하며 새긴 것으로

특히 46점에 달하는 고래 그림은 많은 신비감을 자아낸다.

 

발견 당시 미술사가와 고고학자들은

반구대 암각화의 제작 시기를 기원전 4세기

청동기시대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최근 지리학, 지질학, 식품영양학 등

자연 과학자들은 시대를 훨씬 올려보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그 논거는 고래 그림이 단지 풍부한 식량감의 상징적

도상이 아니라 실제로 이곳이 고래잡이에 적합했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이다.

 

선사시대 울산만의 자연환경은 바닷물이 태화강 중류까지 들어와

300m에 달하는 내만(內灣)이 형성되어 있어 지리학에서는

고울산만(古蔚山灣)으로 불린다.

 

울산은 예나 지금이나 고래가 자주 나타나는 곳으로

선사인들은 먹이를 따라 또는 얕은 바다를 찾아

고울산만으로 들어온 고래를 수심이 더 얕은 곳으로 몰아

"좌초"시킴으로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암각화에 그려진 망보는 사람, 여러 명이 탄 배, 그물,

어책(魚柵), 작살에 찍힌 고래 등은 실제 사냥 모습을

그린 것이라는 주장이다.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에서는 고래뼈가

상당수 발견되었음을 상기시키고있다.

 

그렇게 고래잡이가 가능했던 지질학적 시기는 8천 년 전부터

3천 년 전 사이라고 하니 신석기시대에 해당된다.

 

연구는 이렇게 점점 깊어지는데 암각화는 날로 병들어가고 있다.

 

댐이 만들어짐으로써 암각화가 수몰된 지 35년이나 되었고

어쩌다 이른 봄 갈수기에 잠시 모습을 드러내면 그 보존 상태가

점점 나빠지는 것을 보게 된다.

 

댐을 다른 곳에 만들고 수몰로부터 구제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그게 보통 일이겠는가.

 

무슨 대책이 없을까?

 

(유홍준의 국보순례 중에서..)

출처 : 한국 네티즌본부
글쓴이 : 백합향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