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독송하면 좋은 까닭
업에 따른 과보가 있다는 것은 아는 일이다. 이른바 인과의 업 이론에 의해서도 설명이 되는것인데, 원인이 좋으면 결과가 좋고, 원인이 나쁘면 결과가 나쁘다는 인(因)과 과(果)의 일치가 반드시 나타난다는 것이 인과법이다.
그런데 실제 현실에 있어서 오랜 세월을 착하게 살아온 사람이 불행한 일을 당하거나, 나쁜 짓을 많이 하고도 아무런 벌을 받지 않고 승승장구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럴 경우 혹 사람들은 인과를 믿지 않고, 선악은 인과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하는 수가 있다. 가령 어떤 사람이 금생에 선한 일을 많이 하였는데도 그 과보가 금생에 오지 않고 반대로 악한 일을 수없이 하였는데도 그 과보가 금생에 오지 않을때 인과는 믿을 수 없다고 부정한다는 말이다.
<금강경간정기>에 보면 불명경(佛名經)말을 인용하여 업의 과보에 3가지가 있다고 하였다.“선을 행하는 자는 하는 일마다 불우한데, 악을 행하는 자는 도리어 좋은 일을 만난다. 이럴때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런일을 두고 선악은 구분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내가 3가지 과보가 있다 설한다.”하였다.
일반적으로 업을 선악으로 구분하여 말하고, 선도 악도 아닌 것을 무기(無記)라 한다. 그래서 선업, 악업, 무기업이라 부르며, 또 욕계의 선업을 복업, 욕계의 악업을 비복업. 그리고 색계와 무색계에서 닦는 선정을 부동업(不動業)이라 한다.
업을 지어놓고 그 과보를 언제 받느냐 하는 것은 주로 선업 악업을 두고 하는 얘기이며, 금생에 선악을 지어 금생에 고락을 받는것을 순현보(順現報)라 하고, 금생에 지은 선악의 과보를 다음 생, 곧 내생에 받는 것을 순생보(順生報)라 한다.
그러나 금생에 선악의 업이 그 과보를 가져오는 때가 내생 뒤의 다음 생. 곧 제3생부터 백천 생에 이르도록까지 중간의 정해지지 않은 아무 생에 가서 받는 과보가 있다하여 이를 순후보(順後報)라 한다. 이 세가지 과보를 삼시보(三時報)라 하는 것이다.
이를 정업(定業),부정업(不定業)이라고 하는데, 때는 정해졌으나 과보는 정해지지 않은경우가 있고, 보는 정해졌으나 때는 정해지지 않은경우도 있으며, 이모두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인과 보의 관계는 묘한 것이다. 어째서 정해지기도 하고, 그렇지않기도 하는가 불가사의하기 때문이다.그런가 하면 업이 무겁고 가벼운 경중이 있는데 무거운 업보를 초래할 업이 결과에 가서 가벼워지거나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선세의 죄업으로 악도에 떨어지게 될 과보를 <금강경>을 수지 독송한 덕택으로 악도에 떨어질 과보를 모면하고, 남으로부터 업신여김을 당하는 가벼운 보를 받게 된다한 경우에 바로 무거운 죄업이 가볍게 줄어들고 소멸되는 이치가 있다는 것이다. 참회의 의미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선세의 죄업을 선을 짓거나 복을 닦음으로써 가볍게 줄여가며 소멸시키는 업장참회가 나 스스로의 수행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선세란 지나간 생 곧 전생을 말하고<금강경>을 수지 독송하는 경우<금강경>을 수지 독송하기 이전이 선세가 된다.
'관심사 > 부처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착한사람을 해치는 10가지 고통 (0) | 2012.05.03 |
---|---|
[스크랩] 동물중에도 수행자가 있다/지운스님 (0) | 2011.12.18 |
한산 시 (0) | 2011.12.14 |
큰 반석은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 (0) | 2011.11.19 |
좋은 벗이 필요한 이유 (0) | 2011.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