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말근대 화가 반진용(潘振鏞)의 <월명임하미인래(月明林下美人來)> (1909年作)
瓊枝只合在瑤臺 誰向江南處處栽
雪滿山中高士臥 月明林下美人來
(경지지합재요대 수향강남처처재
설만산중고사와 월명임하미인래)
붉은 매화 가지 요대에 있는데
누가 강남 향해 곳곳에 심었나
눈 덮인 산중에 뜻높은 선비 누운 듯
달 밝은 숲 아래 미인이 찾아오네
☞ 고계(高啓), <매화(梅花)>(九首其一) 중에서
- 只合: 틀림없이, 완전히(=只當)
- 雪滿山中高士臥에서 高士는 '雪中高士'로 매화의 별명(別名). 달리 '설중군자'(雪中君子)라 부르기도 한다.
※ 청대(淸代) 화가 왕림(王霖)의 <月明林下圖> 수권(手卷)
- 瓊枝: 붉은 경수(瓊樹)·옥수(玉樹)의 가지. 경수의 가지를 꺾어 먹으면 장생(長生)한다는 전설이 있다. 여기서는 매화 가지.
재덕(才德)을 갖춘 사람 또는 잘된 시문(詩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경지전단(瓊枝旃檀)이라는 말도 많이 쓴다. 지체 높은 집안의 귀한 딸을 일컫는 금지옥엽(金枝玉葉)과 비슷한 뜻으로 경지옥엽(瓊枝玉葉)이라는 말도 쓴다.
당(唐)나라 재상 송경(宋璟)은 그의 <매화부(梅花賦)>에서 '경영'(瓊英)이라 표현했고, 남송(南宋)의 문인 주자지(周紫芝)는 ≪죽파시화(竹坡詩話)≫에서 빙기옥골(氷肌玉骨) 또는 빙자옥골(氷姿玉骨)이라 노래했다.
남송(南宋)의 애국시인 육유(陸游)는 '빙혼'(氷魂)이라 했으며, 역시 남송 때의 시인 양만리(楊萬里)는 그의 매화시에서 매형(梅兄)·매선(梅仙)이라 불렀다.
※ 청말근대 화가 유가침(劉嘉琛)의 <月明林下美人來> 성선(成扇)
※ 청말근대 화가 오자정(吳子鼎)의 <임하미인(林下美人)>
※ 청말근대 화가 왕진(王震)의 <월명임하(月明林下)> (1928年作)
'관심사 > 고서화(古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인생사대쾌사(人生四大快事)/사쾌(四快) (0) | 2012.01.11 |
---|---|
[스크랩] 광풍제월(光風霽月) (0) | 2012.01.11 |
[스크랩] 불치하문(不恥下問) (0) | 2012.01.11 |
[스크랩] 강촌즉사(江村卽事) (0) | 2012.01.11 |
[스크랩] 상심지유양삼지(賞心只有兩三枝) (0) | 201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