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롱불
법정스님의 글 한귀절에 아궁이에서 군불이 타는 동안 등잔에 기름을 채우고 램프의
등피를 닦아 둔다. 이제는 밤으로 등불이 정답게 여겨지는 계절. 등잔의 심지를
손질 하다가 남쪽으로 날아가는 기러기떼 소리를 들었다. 산에서 사는 사
람들은 이맘때가 되면 감성의 줄이 팽팽하게 조여지고 귀가 아주 밝아진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렇게 등불은 밝기보다 감정적으로 가슴에 닿는 단어이다. 석유가 들어오기 이전, 그리고
전등이 없었던 시절에 밤의 어둠을 밝히기 위해쓴 것이 등잔이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등잔에 콩기름․피마자기름 등의 식물성 기름을 부어 어둠을 밝혔다.
등잔의 종류도 다양하여 흙으로 만든 것과 유기(놋쇠)로 만든 것, 도자기 유형 등이 있다.
등잔 이외에 초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초는 상류층 양반가정에서 주로 사용하였으며,
예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초를 꼽는 촛대는 보통 30 - 70㎝ 정도로, 그 모양도 박쥐형․
나비형․원형 등 다양하였다. 개방 이후 1880년대에 석유가 들어오고, 남포등이 소개되면
서 일부에서는 기름등잔을 석유 남포등으로 바꾸었고, 초도 밀납 대신 양초를 사용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등이 일반화되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전통적인 기름등잔을 사용하고 있었다.
불과 30년 전만 해도 기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곳이 절반이 넘었다. 그 때의 학생들은 호롱불
을 밝히고 공부했다. 좀 열심히 하고 아침에 일어나면 콧구멍이 검게 그을려 있곤 했다.
그러나 더욱 옛날에는 그것조차 없어 공부하는 데에 애로가 많았다 등잔의
발달사는 이렇다. 등잔 -> 호롱불 -> 남포등(램프 호야) ->백열전구 -> 형광등->삼파장 전구
양초는 옛날부터 쓰였다. 우리가 쓰는 용어 중에 화촉이란 말이 있는데 이의 유래는
물들인 초를 말한다 . 화촉은 빛깔들인 밀초로, 혼례 때 신랑신부가 함께 자는
방을 화촉동방(華燭洞房), 혼례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구를 화촉지구(華燭之具)라고 하는 등,
화촉은 일반적으로 혼례를 상징하는 물건이 되었다. 특히 여러 문양과 다양한 색상이
가미된 밀초는 혼례의 즐거운 분위기와 잘 맞아들었다. 궁중에서는 용이 양각된
용초와 모란꽃이 장식된 화초(畵燭)를 사용하였다
인간이 불을 이용한 이래 불은 음식을 익히는 조리용과 주거를 데우는 난방용 그리고 어둠을
밝히는 조명용의 세 가지로 발전했다. 모든 물체는 빛으로 말미암아 그 실체를 드러내고
아름다움을 보이게 된다. 어둠 속에서는 진실을 알 수가 없다. 등은 어둠을 밝히는
광명의 상징이요 믿음이며 가야 할 길을 알려주는 가치이다. 어둠은 죽음이요 빛은 생명이고
희망인 것이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프로메테우스가 신으로부터 불을 훔쳐내어 인간에게
주었다고 한다. 우리의 단군신화에서는 단군의 셋째 아들 부소가 불을 발명하였다.
세상에 맹수와 독충이 생기고 돌림병이 퍼져서 많은 사람들이 죽자 부소가 부싯돌을 만들어
불을 일으켜 해로운 것들을 물리쳤다. 부싯돌은 부소의 돌이란 말에서 유래되었다.
산간지방의 흙벽 한 귀퉁이에 제비집 같은 턱을 만들고 거기에 관솔을 피워
방을 밝히는 고굴이 있다. 등잔불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사용되던 등불이었다. 토기, 도자기,
옥 등으로 등잔을 만들고 그 언저리에 한지, 솜, 마사, 삼 등을 꼬아 심지를 만들고 연료는
참기름, 콩기름, 아주까리기름, 동물기름, 생선기름 등을 썼다. 심지가 두 개 인 것
을 쌍심지라 했다. 쌍심지는 매우 밝았으나 기름도 많이 먹는다.
등불은 길을 밝혀 새로운 세계로 인도하는 길잡이의 상징이다. 인류는 불을 발견하고 이용하면
서부터 불에 의지하고 어둠을 밝혀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확실성의 세계로 나아가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월 파일의 연등제에는 수많은 종류의 등을 밝혀 어둠을 깨친다. 여기서
불은 무명을 떨치는 의미이다. 1876년 이후 일본으로부터 석유가 들어오면서 등잔은 호롱
으로 바뀌었다. 등잔은 뚜껑이 없는 종지 같은 그릇이었으므로 석유를 쓸 수가 없었다.
석유는 인화성이 강하여 등잔 전체에 불이 붙기에 석유를 넣는 병모양의 용기와
이를 덮는 뚜껑을 만들었고 뚜껑을 관통하는 심지에 불을 붙이는 호롱불이 생기게 되었다.
호롱불은 보통 나무로 된 등잔대에 놓여졌다. 등잔대 밑은 사각, 육각, 원형, 동물의
모형 등으로 되어 등잔을 안정되게 받혀주고 성냥 등을 놓는 곳이 되었다.
등잔은 아주 작아 크기가 지금의 알콜램프만했고 하얗게 사기로 만들었다. 심지를 돋구면
불이 밝아졌으나 그을음이 났고 석유를 많이 먹는다 하여 어른들이 심지를 돋구지 못
하게 했다. 등잔밑은 등잔 받침대가 있어서 항상 제일 어두운 곳이었다.
알뜰한 집은 부엌과 안방 사이의 벽에 사방 한 자 남짓 구멍을 내고 부엌쪽 벽에 유리창을
해 달아 그 공간에 호롱불을 놓았다. 일석이조가 아니라 일등이조였다. 한 등으로 두
군데를 밝히려는 절약정신이었다. 호롱불은 석유를 적게 소모해 석유 한 홉이
면 하룻밤을 밝히고도 남았다. 물론 부엌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호롱불은 늘 안방 한가운
데 차지였다. 호롱불을 놓는 등잔대는 두 자 남짓의 높이로 어른 앉은키와 비슷해서
한밤중에 학생 책 읽는 소리가 낭낭하고 여인네 바느질하는 그림자가 방문
창호지에 비치면 한 폭의 그림이었다. 가물거리는 호롱불은 조금만 움직여도 불길이 흔들
렸고 워낙 어두워 바늘귀를 꿰려면 불 앞에 갖다 대야 보였다. 그 불빛 아래서 아이
들은 공부를 했고 여인들은 바느질을 했다.
호롱불은 꼭 그림자가 사방에 생겼다.아이들은 손가락을 이용해 벽에 개, 여우, 나비, 도깨비,
주전자 등의 그림자를 만들며 놀았다. 그 뒤 양초가 나와 부잣집은 양초를 썼다. 남포
등이 나왔는데 배가 불뚝 나오고 위로는 굴뚝처럼 생긴 남포등은 얇은 유리로
만들었는데 자주 깨어졌다. 석유는 많이 들었으나 몇 곱은 밝아졌다. 남포등을 등피라 했는
데 등피는 그을음으로 꺼매졌다. 그런 등피를 청소하려면 세숫대야에 비누를 풀고, 지
난밤 그을음이 낀, 유리로 된 등피를 물속에 넣고 물을 넣은 후 양쪽 입구를 막고
흔든다 1970년대 이후 전기가 활발하게 보급되면서 호롱불은 자취를 감추었다. 삼십
촉짜리 알전구가 방을 밝혀 사람들을 놀라게 하더니 형광등이 나오면서 사람들은
방바닥의 서캐도 보인다며 신기해했다. 지금은 간접조명에 삼파장스탠드
가 방마다 밝혀주는 그림자가 없는 시대이다. 그림자란 무엇인가. 밝은 빛을 가로막는
자신의 모습이다. 자기 자신을 늘 돌이켜 보아 갈고 닦던 옛 어른들의 지혜가 그립다.
너무 밝고 많은 빛은 그림자를 잡아먹는가? 어둠과 그림자와 빛의 의미를 모
르는 신세대들이 생기지나 않을까 걱정스럽다. 용인시에는 등잔박물관이 있다. 수백
가지 등잔이 전시되어 있다. 시간이 날 때 한번 들러 보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호롱불
안방 아랫목 벽 두 자 남짓 높이 벽창호부엌과 겸해 그을린 유리 한 장 호르르 사기 호롱불
가물가물 깜박깜박 나붓이 사려 앉아 다대 깁고 도련 후려 꺾어도 눈과 귀는 희끄무레
들창 밖 바늘귀 어두워 심지 돋울 때 시름 없이 건넛마을 삽살개는철 없이 짖어
이 밤도 행여나 헤픈 정 뜬마음 고깝지는 않지만번갯불 번쩍 우르르 꽝 소나기 퍼붓다
햇빛 쨍쨍 그런 모다기 정을 님이여 마소서 어둡지만 한 홉 석유면밤새워 태워도
남고 어줍지만 한 번 품은 옹이는평생을 풀어도 남소 보슬비에 베적삼
흠뻑 젖는 뭉근하고 한결같은 잔정을 주소
'각종 자료 > 우리 전통.문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겨운 옛날 장터 풍경들 / (0) | 2012.08.16 |
---|---|
[스크랩] ★★옛 추억속의 오두막집 / (0) | 2012.08.16 |
[스크랩] ★★ 사라지는 옛문화 및 물건들 / (0) | 2012.08.16 |
[스크랩] 고려청자 / (0) | 2012.08.16 |
[스크랩] 조상들의 멋과 슬기가 담긴 생활도구들(9) (0) | 201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