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棄綿衣 秋收紈扇 豈不哀哉
(춘기면의 추수환선 기불애재)
봄이 되면 솜옷을 내팽개치고
가을이 되면 비단부채를 거두어버리니
이 어찌 슬프지 아니한가!
☞ 황균재(黃鈞宰), <술애정(述哀情)>
- 반첩여(班婕妤)와 조비연(趙飛燕)은 중국 한(漢)나라 효성제(孝成帝)의 후궁이다. 반첩여는 반황(班況)의 딸이자 사가(史家)인 반고(班固)의 고모가 된다.
효성제는 처음 반첩여를 매우 총애했지만, 시간이 흐르자 조비연에게로 사랑이 옮겨갔다. 조비연은 이름 그대로 나는 제비처럼 날렵한 몸매를 가진 여인이었다. 특히 자신이 개발한 독특한 굴신체조법으로 몸매를 가꿨다.
조비연은 혹시라도 성제의 마음이 반첩여에게 되돌아갈까 염려하여, 반첩여가 임금을 중상모략했다고 무고(誣告)하여 그를 옥에 가두게 했다.
※ 작가미상의 옛 중국화 <사녀(仕女)> 육병(六屛) 제1화(오른쪽)가 <반첩여소조(班婕妤小照)>
①漢成帝婦官班婕妤小照 ②漢蔡伯偕女文姬辨琴圖 ③隋楊越公侍女紅拂圖 ④秦穆公女弄吹簫圖 ⑤隋煬帝妃袁寶兒散花 ⑥楚項妃虞姬小照.
나중에 반첩여의 혐의는 풀렸지만, 그녀의 처지는 과거 임금의 총애를 한 몸에 받던 때와 같지 않았다. 그는 장신궁(長信宮)에 머물면서 한때 임금의 사랑을 받던 일을 회상하고 현재의 자신의 처지를 돌이켜보게 되었다.
그러다가 가을이 되어 쓸모 없게 된 부채와 자신의 처지가 같다는 생각이 들어 <원가행(怨歌行)>이라는 제목의 시를 짓게 되었다. 이 시는 중국 육조문화(六朝文化)를 대표하는 시문선집인 ≪문선(文選)≫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거기에 "裁爲合歡扇(재단하여 합환선을 만드니)… 常恐秋節至(늘 두려운 것은 가을에 이르면…)"이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두 구절에서 '추선(秋扇)'이라는 말이 만들어졌다.
남자의 사랑을 잃은 여자나, 소박맞은 아낙, 철 지나 못쓰게 된 물건 등을 '추선(秋扇)'이라 한다. 달리 추풍선(秋風扇) 또는 추풍단선(秋風團扇: 가을바람의 둥근부채)이라고도 한다.
필요할 때 사용하다가 효용이 다하면 버리는 것은 세상사의 한 모습이고 어쩌면 당연한 이치일지 모른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것을 버림받은 신세의 상징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寵辱眞同夢一場인데.
※ 청대(淸代) 화가 임웅(任熊)의 <요궁추선도(瑤宮秋扇圖)>
- 청나라 때 문인 김성탄(金聖嘆)이 친구와 놀러 갔다가 장맛비에 발이 묶여버렸다. 여러 날을 꼼짝도 못하고 여관 신세를 지게 되었는데 무료하기 짝이없었다.
생각 끝에 두 사람은 세상 살아가면서 가장 통쾌했던 장면을 차례로 돌아가며 하나씩 쓰기로 했다. 그렇게 해서 긴 장맛비에 답답하던 마음을 달랬다.
이 때 그가 쓴 <쾌설(快說)>이라는 글은 대부분 "∼不亦快哉(또한 통쾌하지 아니한가!)"로 끝을 맺고 있다. 이 글이 인기를 끌자 왕탁이라는 자가 <쾌설속기(快說續記)>라는 글을 써냈다.
황균재(黃鈞宰)가 다시 이를 슬쩍 비틀어(意趣를 반대로 하여) <술애정(述哀情)>이라는 글을 발표했다. <술애정(述哀情)>은 "∼豈不哀哉(어찌 슬프지 아니한가!)" 시리즈로 엮어져 있다.
※ 청대(淸代) 화가 개기(改琦)의 <전두명추풍환선단연(錢杜銘秋風紈扇端硯)>
'관심사 > 고서화(古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0) | 2012.01.13 |
---|---|
[스크랩] 산중문답(山中問答) (0) | 2012.01.13 |
[스크랩] 일배일배부일배(一杯一杯復一杯) (0) | 2012.01.13 |
[스크랩] 장한가(長恨歌) (0) | 2012.01.13 |
[스크랩] 부설거사 열반송(浮雪居士 涅槃頌) (0) | 201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