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明)나라 화가 장로(張路)의 <탄금도(彈琴圖)>
若言琴上有琴聲 放在匣中何不鳴
若言聲在指頭上 何不于君指上聽
(약언금상유금성 방재갑중하불명
약언성재지두상 하불우군지상청)
거문고 소리가 거문고 위에서 나는 것이라면
어찌하여 그냥 두면 그 속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가
거문고 소리가 손끝에서 나는 것이라면
어찌하여 그대는 손끝에서 소리를 듣지 못하는가
☞ 소동파(蘇東坡), <금시(琴詩)>
※ 근현대 중국화가 하경관(夏敬觀)의 <청금도(聽琴圖)>
※ ≪능엄경(楞嚴經)≫에 이런 얘기가 있다.
"비유컨대, 거문고와 비파는 비록 아름다운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오묘한 손놀림이 없으면 소리를 낼 수 없다. 그대와 중생들도 역시 이와 같은 것이다(譬如琴瑟琵琶, 雖有妙音, 若無妙指, 終不能發. 汝與衆生亦復如是)"
소동파(蘇東坡)는 ≪능엄경≫의 이 대목을 인용하여 사람들이 듣고 즐기는 거문고소리(聲)는 손가락(指)이나 거문고(琴) 어느 한쪽의 산물이 아니라 양자의 결합을 통해 얻어지는 조화임을 환기시키고 있다.
세상사도 마찬가지이다. 주관적인 의지·행동이 객관적인 환경·조건과 서로 잘 어우러질 때 소기의 효과를 이루어 낼 수 있다. 직접적인 원인(因)과 간접적인 조건(緣), 이것이 佛家에서 말하는 因緣이다. 인연이 만나야 일이 성사된다.
※ 근현대 중국화가 황균(黃均)의 <조금도(調琴圖)>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소요유逍遼遊 원글보기
메모 :
'관심사 > 고서화(古書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월(步月) (0) | 2012.01.13 |
---|---|
[스크랩] 촉규화(蜀葵花) (0) | 2012.01.13 |
[스크랩] 제전오륜산방(題全五倫山房) (0) | 2012.01.13 |
[스크랩] 호리천리(毫釐千里) (0) | 2012.01.13 |
[스크랩] 운산음(雲山吟) (0) | 201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