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고서화(古書畵)

[스크랩] 운조조조(雲朝朝朝)

감효전(甘曉典) 2012. 1. 12. 00:04

雲朝朝朝  朝朝朝 朝朝散
潮長長長  長長長 長長消
(운조조조 조조조 조조산
 조장장장 장장장 장장소)


구름은 아침마다 모였다가 아침마다 흩어지고
바닷물은 멀리멀리 나아갔다가 멀리멀리 물러가네


☞ 중국 절강(浙江)성 온주(溫州) 영가(永嘉)현 강심사(江心寺) 주련(柱聯)

※ 朝朝: 아침마다(매일 아침)
※ 長長: 멀리멀리(길고 긴)

 

※ 강심사는 온주시 북쪽 바닷가 작은 섬 강심서(江心嶼) 위에 자리잡고 있다. 송나라 영종(寧宗) 때 천하선종총림(天下禪宗叢林)으로 품선(品選)됐고, 명나라 때 여러 차례 증축했다.

 

지금의 건물은 청나라 건륭제 때 중건한 것이다. 사람들은 강심사를 위해 강심서(江心嶼)가 존재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만큼 역사가 깊고 경치도 아름답다.

 

강심사에 처음 상기 대련이 나붙자  이 괴이한(?) 구절의 해석을 두고 한동안 사람들 속에서 의견이 분분했다.

 

어느 날 여절(余竊)이라는 사람이 대련의 상련(上聯) 4·7자의 (중국어) 발음(讀音)을 조(潮/의미는 集)로, 나머지는 초(招/의미는 旦)로 풀었다. 하련(下聯)도 같은 방식으로 4·7자를 장(漲/의미는 進)으로, 나머지는 상(賞/의미는 遠)으로 읽음으로써 해석의 실마리를 찾았다.


이로써 구름이 모였다 흩어지고, 조수가 나아갔다 물러나는 정경을 읊은 것으로 해석이 가능했다. 강심사의 표묘(縹緲)하고 장활(壯闊)한 경치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구절(聯句)이라는 것이 밝혀졌던 것이다.

 

※ 현대 중국 서화가 소세경(蕭世瓊)의 전서(篆書) 서법대련(書法對聯)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