甘(회산 감씨)
본관(本貫): 회산(檜山)
시조(始祖): 감규(甘揆)
유래(由來):본관(本貫)인 회산(檜山)은 지금의 경상남도(慶尙南道) 창원(昌原)의 옛이름으로서
신라 경덕왕 때는 義安郡(의안군)이라 하였는데 삼국시대(三國時代)에는 6가야(伽倻) 중
금관가야(金官伽倻)에 속했었다.
감씨(甘氏)는 본래 중국(中國) 발해(渤海) 주왕(周王)의 셋째 아들 숙대(叔帶)가 감후(甘侯)에 봉해지고
식읍(食邑)을 하사(下賜)받았으므로, 그 땅이름을 따서 감씨(甘氏)의 성(姓)을 삼았다고 한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감씨(甘氏)의 본관(本貫)은 회산(檜山), 합포(合浦),
거창(居昌), 창녕(昌寧), 충주(忠州), 부령(富寧) 등 6본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상고(詳考)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으며 다만 우리나라 감씨(甘氏) 모두가
동원분파(同源分派)임에는 틀림이 없다.
<회산감씨대동보(檜山甘氏大同譜)>에 시조(始祖) 감규(甘揆 : 자는 양원, 호는 연강)는
원(元)나라 성종조(成宗朝 : 서기 1295 ~ 1307)에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1351년(충정왕 3)
공민왕(恭愍王)과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배행(陪行)하고 고려(高麗)에 들어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으며 후에 연릉군(延陵君)에 봉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하여 15대(代) 수화(受和)에 이르기까지 본관(本貫)을 연릉(延陵)으로 삼아오다가
16대 철(喆)이 북벌(北伐)을 간(諫)하여 중지케 한 공(功)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에 오르고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졌으므로 관향(貫鄕)을 회산(檜山)으로 삼게 되었다.
가문의 대표적 인물(人物)회산 감씨(檜山甘氏)는 시조(始祖) 감규(甘揆)로부터 고려조(高麗朝)에서
훌륭한 인물(人物)을 많이 배출시켜세도가문(勢道家門)으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감흥협(甘興鋏)시조 감규(甘揆)의 선자로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감소연(甘紹延)고려조(高麗朝)에서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냄.
감진요(甘震曜)고려조(高麗朝)에서 중추부사(中樞府使)를 지냄.
감침(甘鍼)고려조(高麗朝)에서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지냄.
감전형(甘全亨)고려조(高麗朝)에서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지냄.
감원한(甘元漢)회산군(檜山君) 감철(甘喆)의 손자(孫子)로서
조선조(朝鮮朝)에서 예부승지(禮部承旨)를 지냈다.
감익한(甘益漢)조선조(朝鮮朝)에서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올랐다.
특히 감익한은 1455년(단종 3) 수양대군(首陽大君)이왕위를 찬탈하고 단종(端宗)을
노산군(魯山君)으로 봉하자 성삼문(成三問)을 비롯한 사육신과 함께단종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화(禍)를 입은 충신(忠臣)이다.
감경인(甘景仁), 감경륜(甘景倫) 형제임진왜란 때 무공(武功)을 세워 가문을 더욱 빛냈다.
甘箕(감기)諡號(시호)는 貞彗(정혜). 고려조에서 평장사를 역임하고 延陵君(연릉군)에 봉해졌다.
甘興鋏(감흥협)고려 때 平章事(평장사)를 지냈다.
甘熙(감희)고려조에서 평장사를 역임했다.
甘鐵顗(감철의)고려에서 이부 상서를 역임했다.
甘紹延(감소연)고려 때 密直提學(밀직제학)을 지냄.
甘震曜(감진요)고려조에 中樞副使(중추부사)를 역임.
甘全亨(감전형)고려에서 吏部侍郞(이부시랑)을 지냈다.
甘 鍼(감침)고려 때 吏部侍郞(이부시랑)을 역임.
甘棚垕(감붕후)자는 文淵(연) 호는 龜亭(귀정) 諡號(시호)는 忠敬(충경).고려 때 편장사를 역임.
甘受和(감수화)자는 仁汝(인여) 호는 道隱(도은)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司僕侍丞(사복시승)에 이르렀으며문장에 능했다.
甘喆(감철)자는 善卿(선경). 호는 檜庵(회암). 조선조에서 북벌을 간하여 중지하게한 공으로
회산군에 봉해지고 田宅(전택)을 하사 받았다.
甘蘋(감빈)자는 華聖(화성) 호는 修堂(수당). 조선 때 工曹參議(공조참의)를 지냈다.
甘葂(감면)자는 華國(화국) 호는 守軒(수헌). 조선 때 主簿(주부) 지냈다.
甘麒鉉(감기현)자는 英八(영팔), 호는 東湄(동미). 조선 때 府使(부사)를 지냈다.
甘濟鉉(감제현)자)는 聖檣(성장), 호는 直齋(직재). 조선조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추원 議官(의관)을 지냈다.
甘泰旭(감태욱)자는 德一(덕일), 호는 農啞(농아), 조선 때 덕망 높은 학자로 하였다.
甘泰烋(감태휴)자는 華守(화수), 호는 晩惺(만성). 조선 때 학자였다.
甘阜(감부)자는 春殷(춘은), 호는 省齋(성재). 조선 때 舍人(사인)을 지냈다.
甘元漢(감원한)자는 大振(대진), 호는 浦隱(포은), 조선 때 禮部承旨(예부승지)를 지냈다.
甘益漢(감익한)자는 道俊(도준), 호는 秋潭(추담). 조선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부 승지를 거쳐
이조 참의에 이르렀다.1455년(단종 3)에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고 단종을 노산군에봉하자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화를 입어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甘漂(감표)자는 處塋(처영). 조선 때 檜山君(회산군)에 봉해 졌다.
甘德八(감덕팔)자는 乃善(내선), 호는 南溪(남계). 조선 때 敎授(교수)를 지냈다.
甘禮從(감예종)자는 亨淑(형숙), 호는 自怡堂(자이당). 조선 때 학자로 유명하였다.
甘昕(감흔)자는 明仲(명중), 호는 謙齋(겸재). 조선조에 참봉을 역임하였다.
甘尙中(감상중)조선 때 典籍(전적)을 지냈다.
甘景仁(감경인)자는 汝一(여일), 호는 觀術亭(관술정). 조선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僉節制使(첨절제사)를 지내고,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이순신의 수하에서 공을 세웠다.
甘景倫(감경륜)子는 汝五(여오), 호는 晴岡(청강), 1591년(선조 24) 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공을 세웠다. 三烈祠(삼렬사)에 제향 되었다.
甘景茂(감경무)자는 希秀(희수) 호는 敦庵(돈암) 조선 때 성균관진사를 지냈다.
甘景卓(감경탁)자는 希管(희관) 호는 琴溪(금계). 1592년 인진왜란 때 공을 세워 軍資監正(군자감정)을 지냈다.
무술에 뛰어 났다.
甘景仁(감경인) 선생의 일화.
감경인(甘景仁)은 武科에 올라 임진왜란 때는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군막에서 선봉(先鋒)으로 나아가
여러 싸움에서 전공을 세웠다.
李忠武公의 장계(狀啓)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여도만호(呂島萬戶)를 제수(除授)받았다.
이어 어모장군(御侮將軍) 부사과(副司果) 내금위(內禁衛), 정략장군(定略將軍) 부사맹(副司猛)을 역임했다.
그는 아우와 함께 昌原 등 여러 고을을 방비하였는데 특히 昌原은 그들의 힘에 의해 방어되어
대도호부(大都護府)로 승격되기까지 했다.
그 뒤 인조 때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형제가 倡義해 尙州까지 올라갔다.
그곳에서 평란(平亂)소식을 듣고 돌아오던 중 아우 현감공(縣監公)이 병으로 눕자
단지(斷指)로 급환을 구하여 세칭 충효우(忠孝友)삼열(三烈)이라 했다고 한다.
출전: 부천족보 전문 도서과
'** 출판준비 저장文集 > 甘泳生 文集 ·65年만의 歸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어쩌면 이럴 수가 있단 말인가, (0) | 2015.04.30 |
---|---|
감동규(甘東珪)와 密州徵信綠 (0) | 2015.04.29 |
나는 이와같이 들었다 (0) | 2015.04.27 |
甘泳生 先生 친필 편지 (0) | 2015.04.21 |
학살(虐殺) (0) | 201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