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자료/우리 전통.문화자료

[스크랩] 한국등잔박물관(용인오포소재) 전시관 유물사진...[3]...

감효전(甘曉典) 2012. 8. 16. 22:3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촛대에는 일상생활용과 의.예식용(儀.禮式用),그리고 이동용인 수초(手燭)가 있다. 기본 형태는 복발형(覆鉢形) 받침 위에 죽절형(竹節形),염주형,장구형의 기둥(竿柱)이 서있고 그 위에 짧은 초꽂이 촉이 달린 받침접시가 있어 초를 안전하게 꼿도록 한 것으로, 주로 의.예식에 쌍으로 사용하였다.

반면 일상생활용 촛대는 박쥐형, 나비형, 원형(圓形),파초형 등 불후리(火扇)가 달린 것으로, 편리하게 사용.보관할 수 있도록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다. 궁중의 의.예식에 사용된 것으로 커다란 두석대촛대(豆錫大燭臺)가 있는데 2m 가 넘는 초대형 촛대를 기둥의 중간에 나사못으로 연결하여 분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수초는 집안에서 간단한 용무를 보기 위해 이동할 때 편리하도록 만든 촛대이다. 유기등잔은 주로 안방에서 사용되었다. 둥근 받침에 몇단의 걸이용 기둥을 세우고 등잔과 기름받이를 위 아래로 걸어서 사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름받이는 등잔의 기름이 타면서 떨어지는 찌꺼기를 받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기둥의 걸이용 단을 만든 것은 필요에 따라 등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둥의 상단부는 고사리 말림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양식은 고려시대에서도 나타난다.

고사리말림형유기등경(光明斗) / 조선후기
주로 안방에서 사용되었다. 둥근 받침에 3∼4단의 걸이용 기둥을 세우고 등잔과 기름받이를 위 아래로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름받이는 등잔의 기름이 타면서 떨어지는 찌꺼기를 받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기둥에 걸이용 단을 만든 것은 필요에 따라 등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둥의 상단 부분은 고사리말림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양식은 고려시대에서도 나타난다.

 


                                                                                                                                                        

                                                                                             

유기등경
높이43cm 조선후기

 

박쥐문파초형광배부유기촛대(鍮 燭臺)
높이69cm 밑지름 21cm 조선후기
일상 생활용 촛대는 박쥐형, 나비형, 원형(圓形), 파초형 등 불후리(火扇)가 달린 것이 대부분이다. 초꽂이 옆 불후리(火扇)에 박쥐 문양을 새겨 넣었는데, 박쥐는 한자어 '편복(편복)'으로 복(福)을 의미하는 길상(吉祥)의 상징으로 흔히 사용된다. 놋쇠의 은은한 빛깔이 전체 촛대의 모습과 어우러져 양반 가의 호사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해무늬광배부유경촛대
높이 66cm 조선후기

 

해바라기무늬광배부유기촛대
높이 81cm 조선후기

 

나비광배부유기촛대
높이 68.5 cm 밑지름 21cm 조선후기
규방(閨房)의 실내 조명용으로 사용하던 촛대이다. 둥근 밑받침에 기둥을 세우고 나비형 불후리(火扇)를 이음새로 연결하였다. 이음새 부분에 '희(희)'자 문양이 조각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다. 날개를 편 불후리의 나비 모습이 규방 주인의 속마음을 헤아려 금방이라도 살아 움직일 것 같다.

 

나비광배부유기촛대
높이 68.5cm 조선후기

 

나비광배부유기촛대
높이 68.5cm 조선후기

 

나비광배부유기촛대
높이 68.5cm 조선후기

 

 

 

 

등가겸용유기촛대
높이 53cm 조선후기

 

 

 


철제등잔은 조선 중기로 접어들면서 많이 만들어진 양식이다.
쇠가 지닌 단단하고 유연한 성질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 매우 유용한 시설장비, 도구 등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특히 순도가 비교적 높은 무쇠로는 솥이나 화로, 등잔 등을 만들었다.

철제 등잔은 고려시대의 염주형 문양에서 점차 죽절형 문양으로 변모해 가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대체로 불후리와 같은 장식 부분이 파손되는 등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기 어렵지만, 전체적인 모양이 아름답고 화려하다.

 

 

 

 

 

 

 

 

 

 

 

 

 

 

 

 

철제등가
높이 40cm 조선중기

                             
철제촛대
높이 44cm 조선중기

 

철제등가
높이 52cm 조선중기

 

철제등울
높이 85cm 조선중기

 

 


무쇠 바탕에 일일이 은실을 박아 만든 촛대로 , 만든 사람의 수고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육각형의 화선과 촛대의 이음새 부분에 '희(囍)'자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촛대 기둥 상단부에 화선(火煽)의 이음새를 달고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불막이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는데 사대부 집안의 사랑방에서 사용했던 것이다. 불판과 초받침,화선이 육각으로 전체적인 군형이 잘 잡힌 매우 고급스러운 촛대이다.

 

 

출처 : 영영소나무
글쓴이 : 영영 소나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