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자료/관심인물 정보

[스크랩] 점필재 김종직 선생[2]

감효전(甘曉典) 2012. 1. 31. 01:34

=== 점필재 김종직 선생[2] ===

 

■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행력 [2]


□세종조

7. 세종 30년(무진 1448년, 18세)

○ 부친의 질책으로 인하여 성리학(性理學)에 종사하다.


□문종조

8. 문종 1년(신미 1451년, 21세)

○ 울진 현령(蔚珍縣令) 조계문(曺繼門)의 딸 창녕 조씨(昌寧曺氏)에게 납채(納采)하다.

 

9. 문종 2년(임신 1452년, 22세)

○ 개령(開寧)에서 부친에게 백형(伯兄) 김종석(金宗碩)과 함께 배우다. 이 때 지지당(止止堂) 김맹성(金孟性)이 오다.


□단종조

10. 단종 1년(계유 1453년, 23세)

○ 봄, 진사시에 합격하다.

○ 겨울, 초례(醮禮)를 올리다.

○ 이 해에 태학(太學)에 유학하여《주역》을 읽으며 성리(性理)의 근원을 탐구하다.


□세조조

11. 세조 1년(을해 1455년, 25세)

○ 봄, 중형과 함께 성주 교수(星州敎授)로 나간 부친을 찾아뵙고 글을 읽다. 이 때 부자묘(夫子廟)를 참배하고 흙으로 만든 소상(塑像)이 퇴락한 것을 보고 알부자묘부(謁夫子廟賦)를 지었는데, 이후 밤나무로 신주(神主)를 만들다.

○ 백형과 함께 동당시(東堂試)에 합격하다.

 

12. 세조 2년(병자 1456년, 26세)

○ 1월, 백형과 함께 회시(會試)를 보았으나 백형만 합격하다.

○ 3월 2일, 부친상을 당하다.

○ 12월, 밀양부 서쪽 고암산(高巖山)의 분저곡(粉底谷)에 장사 지내다.

 

13. 세조 4년(무인 1458년, 28세)

○ ☆3월, 복(服)을 마치고, 명발와(明發窩)를 지어 경전을 강구하다.

○ 부친에 관한 보도(譜圖)와 기년(紀年), 사우(師友), 사업(事業), 제의(祭儀) 등을 기록한《이준록( 尊錄)》을 편찬하다(주 레나 : 일부 사람들이 "이존록"이라 하나 ""이준록"임, 즉 "존"이 아닌 "준"임) 

○ 가을, 별거(別擧)의 초시(初試)에 합격하다.

 

14. 세조 5년(기묘 1459년, 29세)

○ 봄, 고태정(高台鼎)의 방(榜)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가 되다.

 

15. 세조 6년(경진 1460년, 30세)

○ 봄, 승문원 저작(承文院著作)이 되다.

○ 3월, 백형이 서울에서 객사하자 고향으로 반장(返葬)하다.

 

16. 세조 7년(신사 1461년, 31세)

○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가 되다.

○ 12월, 왕세자빈(王世子嬪) 한씨(韓氏)의 애책문(哀冊文)을 지어 올리다.

 

17. 세조 8년(임오 1462년, 32세)

○ 인수왕후(仁粹王后)의 봉숭옥책문(封崇玉冊文)을 지어 올리다.

 

18. 세조 9년(계미 1463년, 33세)

○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이 되었으나 불사(佛事)에 대한 진언(進言)으로 파직되다.

 

19. 세조 11년(을유 1465년, 35세)

○ 경상도 병마평사(慶尙道兵馬評事)가 되어 열읍(列邑)을 순찰하고 제영(題詠)한 시첩(詩帖)을 남기다.

○ 형재선생시집서(亨齋先生詩集序)와 ★경상도지도지(慶尙道地圖誌)를 짓다.

 

20. 세조 12년(병술 1466년, 36세)

○ 7월, 이시애(李施愛)가 난을 일으키자 영해부(寧海府)로 징병하러 가다. 이 때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옛집을 둘러보고 관어대(觀魚臺)를 유람하다.

○ 경상도좌상원수부제명기(慶尙道左廂元帥府題名記)를 짓다.

 

21. 세조 13년(정해 1467년, 37세)

○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이 되다.

 

22. 세조 14년(무자 1468년, 38세)

○ 이조좌랑 겸 춘추관기주관 교서관교리 지제교(吏曹左郞兼春秋館記注官校書館校理知製敎)가 되다.

○ 영일현 인빈당기(迎日縣寅賓堂記)를 짓다.


□예종조

23. 예종 1년(기축 1469년, 39세)

○ 조산대부(朝散大夫) 전교서교리 겸 예문관응교 지제교(典校書校理兼藝文館應敎知製敎)가 되다.

○ 11월, 예종(睿宗)이 승하하자 시책문(諡冊文)과 만사(挽詞)를 지어 올리다.


□성종조

24. 성종 1년(경인 1470년, 40세)

○ 성종(成宗)이 즉위하여 경연(經筵)을 열고 선발한 문학(文學)하는 선비 19인에 들다.

○ 6월, 예문관수찬 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藝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에 제수되다.

○ 겨울, 모부인 봉양을 위하여 함양 군수(咸陽郡守)가 되다.

 

25. 성종 2년(신묘 1471년, 41세)

○ 9월, 조열대부(朝列大夫)가 되다.

○ 12월, 봉정대부(奉正大夫)가 되다.

 

26. 성종 3년(임진 1472년, 42세)

○ 봄, 가을로 향음주의(鄕飮酒儀)와 양로례(養老禮)를 설행하다.

○ 8월, 지리산을 유람하고 유두류록(遊頭流錄)을 짓다.

○ 일두(一 ) 정여창(鄭汝昌)과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이 와서 배움을 청하다.

 

27. 성종 4년(계사 1473년, 43세)

○ 중훈대부(中訓大夫)가 되다.

○《청구풍아(靑丘風雅)》의 서문을 짓다.

 

28. 성종 5년(갑오 1474년, 44세)

○ 4월, 안의현신창향교기(安義縣新創鄕校記)를 짓다.

○ 연이어 자식을 잃고 감사(監司)에게 사직장을 올리다.

○ 9월, 산음(山陰)에서 자친(慈親)을 작별하고 함양으로 돌아오다.

○ 10월, 다시 사직장을 올리고 금산(金山)의 농사(農舍)로 돌아오다.

○ 차나무를 구하여 다원(茶園)을 만들고 공상(供上)에 대비하다.

 

29. 성종 6년(을미 1475년, 45세)

○ 중직대부(中直大夫)가 되다.

○ 십고 십상(十考十上)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가 되고 특지(特旨)로 승문원사(承文院事)에 임명되다.

○ 함양 군민(郡民)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세우고 삭망(朔望) 때마다 참알(參謁)하다.

○ 신문충공문집서(申文忠公文集序)를 짓다.

 

30. 성종 7년(병신 1476년, 46세)

○ 7월, 모부인 봉양을 위하여 선산 부사(善山府使)가 되다.

○ 매월 삭망 때마다 선성(先聖)을 참알하고 향음주의를 거행하다.

○ 봄, 가을로 양로례(養老禮)를 설행하다.

○ 윤선생상시집서(尹先生祥詩集序)를 짓다.

 

31. 성종 8년(정유 1477년, 47세)

○ 5월, 김굉필, 이승언(李承彦), 원개(元 ), 이철균(李鐵均), 곽승화(郭承華), 주윤창(周允昌) 등이 향교에 모여 경전(經傳)을 토론하면서 문하(門下)에 나와 문변(問辨)하다.

○ 발송도록(跋松都錄)을 짓다.

○ ★9월, 선산지도지(善山地圖誌)를 짓다.

○ 황화집서(皇華集序), 신간주례발(新刊周禮跋), 시전발(詩傳跋) 등을 짓다.

 

32. 성종 10년(기해 1479년, 49세)

○ 12월, 모친상을 당하다.

 

33. 성종 11년(경자 1480년, 50세)

○ 3월, 모부인을 분저곡에 있는 부친과 외조모 민 부인(閔夫人) 두 묘의 중간에 장사 지내다.

○ 여묘살이를 하면서 상례(喪禮)를 주자(朱子)의《가례(家禮)》에 따라 하다.

○《이준록》가운데 보도, 기년, 사우에 대한 기록을 다시 고정(考定)하다.

 

34. 성종 12년(신축 1481년, 51세)

○ 양준(梁浚)과 양침(梁沈)이 홍유손(洪裕孫)을 따라 서울에서 배우러 오다.

 

35. 성종 13년(임인 1482년, 52세)

○ 2월, 복을 마치다.

○ 김맹(金孟)의 아들 김기손(金驥孫)과 김일손(金馹孫)이 와서 배우다.

○ 3월, 금릉(金陵)의 옛집으로 돌아가다.

○ 금산(金山)에 이르러 서당을 짓고는 못을 파서 연꽃을 심고 경렴당(景濂堂)으로 편액하다.

○ 특명으로 홍문관응교 지제교 겸 경연시강관 춘추관편수관에 제수되다.

○ 예문관 직제학 지제교 경연 춘추관 기주관에 제수되다.

○ 4월, 부인 창녕 조씨의 상을 당하다.

○ 11월, 부인을 금산(金山)의 미곡(米谷)에 장사 지내다.

 

36. 성종 14년(계묘 1483년, 53세)

○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지제교에 제수되고, 이어 우부승지에 제수되다.

○ 정희왕후애책문(貞熹王后哀冊文)을 짓다.

○ 주자의《가례》에 따라 신주(神主)를 만들고 선사(先祀)를 받들도록 청하다.

-----------------------------------------------------

■ 참고문헌

《人+占,畢齋集》,《韓國文集叢刊》제 12 집, 민족문화추진회, 1988.

《梅溪集》,《韓國文集叢刊》제 16 집, 민족문화추진회, 1988.

《燕山君日記》

〈成宗朝의 文士政策과 文集編刊〉, 辛承云,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人+占,畢齋先生 文集硏究〉, 金光洙,《漢文學硏究》제 7 집, 계명한문학연구회, 1991.

〈人+占,畢齋集 解題〉, 吳世玉,《韓國文集叢刊解題》제 1 집, 민족문화추진회, 1991.

〈人+占,畢齋先生全書 解題〉,《啓明漢文學硏究會 硏究資料叢書》제 4 집, 학민문화사, 1996.


■ 위의 참고문헌은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의 "강대걸 전문위원님"이 "점필재집(人+占,畢齋集) 해제"를 작성시, 참고하신 문헌입니다.

출처 : 밀양광장 ("동남권 신 국제공항" 밀양 유치, 밀양지리, 역사)
글쓴이 : 레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