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나물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5B731549F058812F)
6.꿩의다리(꿩다리)
삶아서 무쳐 먹으면 향긋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15B731549F0588331)
7.윤판나물
많이 먹으면 배탈이납니다. 삶아서 하루 정도 물에 우려낸 후 무쳐 먹습니다. 기침, 폐결핵
![](https://t1.daumcdn.net/cfile/cafe/135B731549F0588432)
8.당개지치(지장나물)
핵산이 풍부한 고급나물이고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식욕부진
![](https://t1.daumcdn.net/cfile/cafe/155B731549F0588533)
9.벌깨덩굴(줄나물, 깻잎나물)
깊은 산골짜기에 많으며 삶아서 무치면 아주 맛이 좋습니다.
비슷한데 색갈이 검고 잎이 두꺼운것은 광대수염이니 뜯지 마세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B731549F0588934)
10. 나비나물(콩대가리)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25B731549F0588D35)
11. 곤대서리
생으로 쌈을 싸 먹어도 되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5B731549F0589136)
12. 병풍취
아주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취나물의 여왕이라 할 정도로 향이 좋으며 쌔으로 쌈을 싸서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B731549F0589537)
13. 참당귀
생으로 쌈을 싸 먹으며 향이 아주 좋습니다.(뿌리는 한약재로 쓰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5B731549F0589938)
14. 우산나물(우산대)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5B731549F0589D39)
15. 단풍취(조타파리)
산에가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취나물이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5B731549F0589E3A)
16. 고비(귀리)
머리부분은 때어내고 삶아서 말린 후 묵나물로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45B731549F058A03B)
17. 쥐오줌풀
산 길 주위에 많으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5B731549F058A23C)
18. 애기참반디(밤내이)
참나물이며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B731549F058A43D)
19. 참나물
깊은 산 골짜기에 많으며 나물중에서 최고로 맛있으며 생으로 쌈을 싸 먹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35B731549F058A63E)
20. 홀아비꽃대(놋젖가치)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 무쳐 먹습니다.(대궁이는 두릅 맛 비슷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65B731549F058A83F)
21. 돌나물
돋나물이라고도 하며 나물로 무치기도 하고 생으로 김치를 담아 먹기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9E72149FC229A21)
22. 혼닙나물(화살나무)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순하고 맛과 향이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9E72149FC229A22)
23. 냉이
이른봄 들나물을 대표한다. 무쳐도 좋고 국으로도 향이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9E72149FC229B23)
24. 물냉이
논두렁이나 개천 근처에 많이 자란다. 냉이보다 잎이 잘잘하고 많이 달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9E72149FC229B24)
25. 떡쑥
양지바른 풀밭이면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나물로는 적합지 않고 주로 쑥떡용으로 식용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9E72149FC229B25)
26. 엄나무
엄나무는 험상궂은 가시가 줄기에 빈틈없이 나있는 나무로 해동목(海桐木). 자추목(刺秋木)이라고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9E72149FC229C26)
27. 참나물
취나물 비슷한데 털이 없고 기름때가 반질거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7BF32049FC236300)
28. 기린초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산속 물가에 많이 자생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7B4A2249FC2381DF)
담배나물(망초)
우리 주변에 가장 많은 풀이 망초다. 공원과 아파트 정원 어디서도 잘 자란다. 양념을 잘해 나물로 무치면 아주 맛이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B2F2349FC23BEC5)
소리쟁이
물가나 풀밭 어디에도 흔한 풀이다, 나물로도 먹고 국으로도 사용되는데 맛은 별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B2F2349FC23BEC6)
둥굴레나물
깊은 산속 큰나무 밑에 잘 자란다. 뿌리는 약초로도 쓰이고 둘굴레차로도 많이 이용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D921F49FC23FFDE)
취나물
산나물의 으뜸이다. 요즘은 재배도 많이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34921C49FE034211)
민들레
나물로 먹는데 꺾으면 유백색 진이 난다. 뿌리는 아주 독이 많다. 나물로 먹으려면 데쳐서 물에 24시간 이상 우리어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B6A2249FC244B1C)
도라지싹(길경) 순하고 맛있는 나물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B6A2249FC244B1D)
더덕
잎과 줄기는 나물로, 뿌리는 약재나 나물로 귀하게 이용된다. 깊은 산속 계류가에 자생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B6A2249FC244B1E)
씀바귀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쓴나물이기 때문에 많이 우려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CFE1F49FC24B0B6)
두리풀(용강나물)
한약초로는 잎과 뿌리를 '세신,이라 한다. 향이 독특하여 나물로도 고급에 속한다
꽃이 요강이나 족두리를 닮았다. 깊은 산속에 자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CFE1F49FC24B1B7)
애기나리
산속 큰 나무 밑 음지에 잘 자란다. 둥굴레 비슷한데 잎이 작다. 대체로 군락을 이루어 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CFE1F49FC24B1B8)
묵나물(다래순)
깊은 산속 덤불로 자란다. 강원도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맛과 향이 매우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AFB2349FC24FE0C)
질경이
풀밭이면 어디서도 잘 자라는 잡초에 속한다. 나물로 먹을 수 있으나 좀 질긴 편이어서 데쳐서 다시 국을 끊이면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AFB2349FC24FF0D)
보리뱅이(뽀리뱅이)
우리가 어릴 때는 없던 풀이다. 해방 뒤 들어온 외래종이다. 뽀얀 진이 나기는 해도 순한 나물이다
집 근처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냉이 비슷한데 잎이 넓고 크며 붉은색을 띠고 진이 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B1F2249FC26115D)
시금치나물(별꽃풀)
물가나 습한 곳에 많이 난다. 흰꽃이 별같아서 별꽃풀이다. 시금치 같이 순하고 맛이 좋아 권하고 싶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B1F2249FC26115E)
방아나물
깻닢 비슷하기도 하고 취나물 비슷도 한데, 박하 비슷한 독특한 냄새가 매우 강하다
그래서 생선조리할 때 넣으면 비린내가 싹 가신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B1F2249FC26115F)
다닥개갓냉이
양지바른 풀밭에 흔하게 자란다. 나물로 무치면 아삭아삭한 맛이 제법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B892049FC265D1F)
고들빼기
씀바귀의 일종으로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진이 많아 쓴 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B892049FC265D20)
병아리고비
고사리의 작은 모양으로 이른봄 고사리보다 먼저 나온다
산계곡이나 음지에 자란다. 봄나물의 으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B892049FC265E21)
깨나물(오리방풀)
깻닢같이 생겨 깨나물이다. 야산 조금 높은 곳 양지쪽에 자생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B982049FC26A80F)
고추나물
이와 비슷한 풀로 '물레나물' 과 '용담초' 가 있다. 봄나물로 권하고 싶은 좋은 나물이다. 약간 습한 풀밭에 잘 자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B982049FC26A810)
미역취
취나물과에 속한다. 약간 큰산에 자라는 나물이다. 맛이 아주 좋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B982049FC26A911)
콩제비꽃
제비꽃 중에 나물로 먹는 것이 두세 종 된다. 대개 식용은 잎이 하트형으로 둥굴다. 집 근처에 많이 자생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7B152249FC26EEED)
양지꽃
이른봄 가장 먼저 나오는 풀이다. 양지바른 언덕에 많이 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B152249FC26EEEE)
잔대(겨르기싹)
꺾으면 진이 나는데 뿌리를 생으로 먹기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B152249FC26EFEF)
망제비꽃
물가나 습한 음지에 잘 자란다. 여리고 순해서 나물로 괜찮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9DD2149FC27381B)
짚신나물
개굴가나 습한 땅에 자란다. 여름에 노란 꽃이 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9DD2149FC27381C)
조개나물
제비꽃의 일종인데 황해도에서는 조개나물이라 부른다. 깊은 산속 낙옆속에 자란다
흰털이 많이 나며 연하다. 고급나물에 속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9DD2149FC27391D)
가락지나물
양지꽃이나 뱀딸기를 닮았다. 계류가나 습한 땅에 잘 자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AEC2349FC278212)
당귀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큰산 계곡에 난다. 뿌리는 한약재 '당귀'로 쓰인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AEC2349FC278213)
청미래덩쿨
줄기나 가시가 억센 편이어서 어린순만 먹을 수 있다. 가을에 빨간 열매를 장식으로 많이 이용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AEC2349FC278314)
까치수영
까치수염이라고도 하는데 흰꽃이 수염처럼 늘어져 피기 때문이다
이 풀은 삶으면 초록색이 갈색으로 변해 시각성이 떨어진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C922049FC27D20A)
층층이둥굴레
약간 습한 낮은 땅에 자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C922049FC27D20B)
개갓냉이
꼭 전라도 갓을 닮았다. 자연상태의 갓이다. 맛이 일품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C922049FC27D30C)
궁궁이(천궁)
냄새가 톡 쏜다. 잎에서도 뿌리 '당귀'처럼 짙은 한약냄새가 특징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B882349FC281B06)
메꽃
흰 뿌리와 함께 먹는 순한 풀이다. 풀밭이면 어디서도 자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AD02349FC2944E5)
좀단풍취
고산식물에 속한다. 높은 산 큰나무 밑 낙엽 속에 자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AD02349FC2944E6)
갈퀴나물
풀밭에 흔하게 볼 수 있는 풀이다. 잎이 큰 큰갈퀴와 작은 갈퀴가 있다. 사진은 작은 갈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C1C2049FC297FC2)
고비나물
고비가 활짝 핀 모습이다. 깊은 산 계류가에 많이 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C1C2049FC297FC3)
좁쌀풀 나물
풀밭에 군락을 이루어 무더기로 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C1C2049FC2980C4)
멸구나물
귀한 나물이다. 들풀은 아니고 산속 양지쪽에 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A6B2349FC29C806)
꼬리솔나물
층층이둥굴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작다. 양지를 좋아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A6B2349FC29C807)
청가시나물
맛있는 나물에 속한다. 잎과 순이 작아 뜯기가 힘들다. 가시가 많고 사납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A6B2349FC29C908)
쑥부쟁이
큰산나물의 대표다. 요즘은 가을에 보라색 꽃이 좋아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식재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DF71F49FC2A2BF1)
구기자순
열매 구기자차로 먹는 구기자 나무다. 나물로도 귀하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DF71F49FC2A2BF2)
산머루
야산에 많이 자란다. 개머루가 달린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DF71F49FC2A2CF3)
곰취
취나물중의 으뜸, 곰취는 깨끗한 물에 씻어서 날로 먹는것이 가장 향이 좋으며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싸서 된장을 조금 발라 찍어 먹으면 신선이 따로 없음을 느끼게 해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http://unduryung.co.kr/S_Board/Board/board_image/곰취-2.JPG)
각시취
우리강산의 산천에서 나는 풀은 새순일 때는 독초까지도 독이 없을 정도로 깨끗하고 얌전하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9/20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
고사리
![](https://t1.daumcdn.net/cafefile/pds30/36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2)
고추대나물
![](https://t1.daumcdn.net/cafefile/pds7/22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3)
단풍취
![](https://t1.daumcdn.net/cafefile/pds8/26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4)
모시대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0/32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5)
미나리취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2/19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6)
바위취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7/29_b_m_zIFE_G5Sr_000_00_00000211_02)
방풍나물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8/3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8)
병풍취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9/9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09)
누리대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0/24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10)
미역취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2/32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11)
삿갓나물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3/1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12)
원추리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4/7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13)
지장보살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5/9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14)
엉겅퀴
![](https://t1.daumcdn.net/cafefile/pds28/16_n_w_11ybQ_HzVh_000_00_00000006_16)
명아주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0/19_p_o_rGRM_6Ggk_000_00_00000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