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은 성(姓) 아래에 붙여 다른 사람과 구별하는 명칭이다. 넓게는 성과 이름을 모두 합쳐 이름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한국 중세어에서 "일홈" 또는 "일훔" 등으로 표기되고 있지만, "이르다(謂)"나 "말하다"는 뜻을 가진 옛말 "닐다"에서 출발하여 "닐홈 - 일홈 - 이름"으로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아명(兒名) 어렸을 때 부르던 이름. 초명(初名)이라고도 한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경우, 이(珥)는 관명(冠名)이지만, 아명은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이 꿈에 용을 보았다 하여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자(字)는 숙헌(叔獻)이고, 호(號)는 율곡 외에도 석담(石潭), 우재(愚齋) 등이 있다.
□ 관명(冠名) 장성해서 그 집안의 항렬에 따라 짓는 이름.
□ 자(字) 대체로 혼인한 후에 본 이름 대신 부르는 이름. 성인식인 관례(冠禮) 치를 때 의식(儀式)을 주관하는 주례자(主禮者)가 지어준 이름을 말한다.
□ 호(號) 자(字) 이외에 쓰는 아명(雅名)으로, 학자, 문인, 서화가들이 가지는 또 하나의 이름.
□ 시호(諡號) 임금이나 경상(卿相), 유현(儒賢) 등이 죽은 뒤에, 임금이 그 행적을 칭송하면서 추증(追贈)하는 이름.
□ 항명(行名) 가문의 항렬자(行列字)에 따라 족보에 오르는 이름 .
□ 별호(別號) 특별히 학문 예능 등이 뛰어나 학문단체 등에서 지어주는, 따로 부르는 이름.
□ 함자(銜字) 살아계신 웃어른의 이름자를 부를 때
□ 휘자(諱字) 돌아가신 웃어른의 이름자를 부를 때
※ 함자ㆍ휘자는 이름자 사이에 자(字)를 넣어서 부르거나, 글자 뜻을 풀어서 말하는 것이 예의이다. ※ 서민은 아명으로 평생을 살다 가기도 하였다. ※ 여성에 있어서는 특별한 경우 외에는, 출가와 함께 아명(兒名)은 없어지고, 대신 택호(宅號)로 불리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