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연예] KBS가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방송한 다큐멘터리 ‘대한민국을 움직인 사람들-초대 대통령 이승만’에서 이승만을 미화했다는 지적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방송에 대해 일부 매체에서는 사실을 누락하거나 이승만을 두둔하고 미화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KBS는 4일 보도자료를 통해 “부적절하고 악의적인 왜곡”이라고 반박했다.
KBS 제작진은 3선 개헌이란 표현과 관련해 일부 매체에서 ‘사사오입 개헌’이라고 표기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현직 대통령의 3선을 가능토록 하기 위한 점을 들어 3선 개헌으로 표현하면서 동시에 방송 자막으로 ‘사사오입 개헌’임을 명확히 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이승만의 친일파 청산 논란과 관련해서는 “취약한 정치기반을 극복하고 자신의 지지세력을 만들기 위해 친일관료들을 활용했음을 강조하고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 김삼웅씨의 인터뷰를 인용해 친일파 청산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을 이승만의 중대한 실책으로 지적했다”며 “4.3 사태와 여순사건을 전후로 벌어진 양민 학살사건은 거창 양민학살사건이 벌어진 현지에서 유족 인터뷰를 통해 당시의 참상을 전했다”고 일축했다.
특히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이 이승만에 대한 연구 성과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이정식, 유영익, 이철순, 차상철, 양동안, 이완범, 신복룡, 윌리엄 스튝, 브루스 커밍스, 제임스 매트레이 등 이승만 연구를 한 전문가이자 이승만 시기 정치활동을 한 증언자”라고 밝히고 그 같은 주장을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제작진은 “일부 호칭상의 표현을 두고 제기된 지적과 관련해 제작상의 사소한 실수라기보다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한 기술상의 문제로 그 같은 지적은 겸허히 수용한다”고 밝혔다.
이승만 다큐는 지난해 7월 김인규 KBS 사장의 제안으로 제작이 시작됐으나 내부 반발이 심해 팀이 해체되는 우여곡절 끝에 외주 PD를 충원, 당초 5부작 계획에서 3부로 축소 제작된 바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두정아 기자 violin80@kukimedia.co.kr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국민일보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by 팔켄
- 2011/10/03 19:43
- falkenz.egloos.com/913959
- 덧글수 : 0
목차
![[-] [-]](http://www.angelhalowiki.com/r1/imgs/plugin/arrup.png)
![[+] [+]](http://www.angelhalowiki.com/r1/imgs/plugin/arrdown.png)
-
- 1 개요
- 2 진행
- 3 여타 지역에서의 학살
- 4 기타
1951년 당시 한국군 11사단은 지리산 일대의
빨치산 토벌에 동원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11사단장 최덕신이 토벌을 위해 휘하 부대에 보낸 방침은 견벽청야(堅壁淸野). 빨치산들이 머물 지역 자체를 없애버린다는 발상 자체는 정석에 가깝다고 할 수 있으나, 어처구니가 없어도 너무 없게도 이러한 견벽청야 방침에는 빨치산이 출몰하는 지역의 주민은 모조리 적국 국민 취급, 더 나아가 제거 대상으로 본다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었다.
거창군 신원면 일대에 공비 토벌을 명목으로 출동한 한국군 11사단 9연대 3대대는 사단의 이러한 사단의 방침을 그대로 이행, 민간인들을 안전 지역으로 피난시킨다는 명목으로 인근 초등학교 건물로 사람들을 전부 모은 후, 군경 가족 등을 추려내고는 주민들을 전부 인근 박산으로 이끌었다. 국군이 지켜주는 피난길을 간다고 말 그대로 남부여대하고 아이들의 손을 잡고 걸어간 이들에게 쏟아진 건 같은 나라 군대의 총탄. 700명 가까운 사람들을 그 자리에서 죽인 11사단 병력은 시체에 휘발유 뿌려 불을 붙이고 매장하는 등 증거인멸에도 나섰다.
하지만 그런 지옥 속에서도 시체 더미 속에서 살아남은 사람이 있고 사람들이 박산으로 이끌려 나가기 직전 선별 과정에서 살아남은 사람도 있었다. 억울함을 참지 못한 살아남은 이들이 뜻을 모아 당시 거창 지역 국회의원이던 신중목에게 눈물로 호소를 했고, 사실을 알게된 후 경악한 신중목이 국회에서 이 사건을 공개하면서 거창양민학살사건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긴급히 국회에서 조사단이 꾸려져 거창 지역으로 파견되었고, 당시 지역 계엄사령관인 김종원이 국회 조사단을 빨치산으로 위장한 한국군 병력으로 습격하는 병크를 저지르고 한국군에선 죽은 자들은 전부 빨갱이라고 주장하였으나, 결국에는 거창양민학살사건이 실제 벌어졌다는 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결국 군사재판이 벌어져 최덕신은 직위 해제, 연대장 오익경은 무기징역, 대대장 한동석은 징역 10년, 조사단을 습격한 김종원은 징역 3년 등의 판결을 받았다. 저지른 죄에 비해 가볍기 그지없는 판결임에도, 판결 얼마 후 관련자들은 전부 특사로 풀려나 현역에 복귀했다.
4.19 이후 이승만 정권이 물러난 2공화국 시기, 양민학살사건의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이 당시 학살에 협력했던 면장을 산 채로 불태워 죽이면서 사건은 다시 한번 세상의 이목을 이끌었고, 거창의 생존자들은 명확한 진상 규명과 학살당한 이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권은 거창양민학살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주장하는 이들을 전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잡아넣고 말았다.
3 여타 지역에서의 학살 ¶
거창에서도 신원면만이 아니라 곳곳에서 학살이 벌어졌다. 거창에서의 일이 국회를 통해 세상에 크게 알려지긴 했으나 실상 11사단이 벌인 학살사건은 거창에 국한된 일이 아니라
산청 함양 등 11사단의 작전지역 곳곳에서 거창과 같은 양상의 학살이 벌어졌으며, 그런 학살에 관련된 자들은 거창에서만큼의 처벌조차 받지 않았다.
게릴라 토벌 과정에서 같은 나라 국민을 아예 적국 국민으로 취급하는 것도 어처구니없는데, 적국 국민으로 취급해서 몽땅 살해에 나섰고, 그게 우발적인 것도 아니고 사단장의 방침에 의한 조직적인 활동이란 점까지, 여러 모로 당시 11사단이 벌인 학살은 뭔가 표현할 말조차 부족할 정도의 일이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의 악행이라며 없는 일도 만들어내는 북한이 거창사건에 대해서는 조용한 편인데, 이는 11사단이 벌인 양민학살사건의 주동자인 사단장 최덕신이 1986년 월북해 김일성 곁으로 갔기 때문. 이 때문에 북에선 양민학살사건을 최덕신의 젊은 날의 과오 식으로 살짝 넘아가고 있다.
포스트 메타 정보
키워드 검색글
- by 팔켄
- 2011/10/03 19:43
- falkenz.egloos.com/913959
- 덧글수 : 0
목차
![[-] [-]](http://www.angelhalowiki.com/r1/imgs/plugin/arrup.png)
![[+] [+]](http://www.angelhalowiki.com/r1/imgs/plugin/arrdown.png)
-
- 1 개요
- 2 진행
- 3 여타 지역에서의 학살
- 4 기타
1951년 당시 한국군 11사단은 지리산 일대의
빨치산 토벌에 동원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11사단장 최덕신이 토벌을 위해 휘하 부대에 보낸 방침은 견벽청야(堅壁淸野). 빨치산들이 머물 지역 자체를 없애버린다는 발상 자체는 정석에 가깝다고 할 수 있으나, 어처구니가 없어도 너무 없게도 이러한 견벽청야 방침에는 빨치산이 출몰하는 지역의 주민은 모조리 적국 국민 취급, 더 나아가 제거 대상으로 본다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었다.
거창군 신원면 일대에 공비 토벌을 명목으로 출동한 한국군 11사단 9연대 3대대는 사단의 이러한 사단의 방침을 그대로 이행, 민간인들을 안전 지역으로 피난시킨다는 명목으로 인근 초등학교 건물로 사람들을 전부 모은 후, 군경 가족 등을 추려내고는 주민들을 전부 인근 박산으로 이끌었다. 국군이 지켜주는 피난길을 간다고 말 그대로 남부여대하고 아이들의 손을 잡고 걸어간 이들에게 쏟아진 건 같은 나라 군대의 총탄. 700명 가까운 사람들을 그 자리에서 죽인 11사단 병력은 시체에 휘발유 뿌려 불을 붙이고 매장하는 등 증거인멸에도 나섰다.
하지만 그런 지옥 속에서도 시체 더미 속에서 살아남은 사람이 있고 사람들이 박산으로 이끌려 나가기 직전 선별 과정에서 살아남은 사람도 있었다. 억울함을 참지 못한 살아남은 이들이 뜻을 모아 당시 거창 지역 국회의원이던 신중목에게 눈물로 호소를 했고, 사실을 알게된 후 경악한 신중목이 국회에서 이 사건을 공개하면서 거창양민학살사건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긴급히 국회에서 조사단이 꾸려져 거창 지역으로 파견되었고, 당시 지역 계엄사령관인 김종원이 국회 조사단을 빨치산으로 위장한 한국군 병력으로 습격하는 병크를 저지르고 한국군에선 죽은 자들은 전부 빨갱이라고 주장하였으나, 결국에는 거창양민학살사건이 실제 벌어졌다는 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결국 군사재판이 벌어져 최덕신은 직위 해제, 연대장 오익경은 무기징역, 대대장 한동석은 징역 10년, 조사단을 습격한 김종원은 징역 3년 등의 판결을 받았다. 저지른 죄에 비해 가볍기 그지없는 판결임에도, 판결 얼마 후 관련자들은 전부 특사로 풀려나 현역에 복귀했다.
4.19 이후 이승만 정권이 물러난 2공화국 시기, 양민학살사건의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이 당시 학살에 협력했던 면장을 산 채로 불태워 죽이면서 사건은 다시 한번 세상의 이목을 이끌었고, 거창의 생존자들은 명확한 진상 규명과 학살당한 이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권은 거창양민학살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주장하는 이들을 전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잡아넣고 말았다.
3 여타 지역에서의 학살 ¶
거창에서도 신원면만이 아니라 곳곳에서 학살이 벌어졌다. 거창에서의 일이 국회를 통해 세상에 크게 알려지긴 했으나 실상 11사단이 벌인 학살사건은 거창에 국한된 일이 아니라
산청 함양 등 11사단의 작전지역 곳곳에서 거창과 같은 양상의 학살이 벌어졌으며, 그런 학살에 관련된 자들은 거창에서만큼의 처벌조차 받지 않았다.
게릴라 토벌 과정에서 같은 나라 국민을 아예 적국 국민으로 취급하는 것도 어처구니없는데, 적국 국민으로 취급해서 몽땅 살해에 나섰고, 그게 우발적인 것도 아니고 사단장의 방침에 의한 조직적인 활동이란 점까지, 여러 모로 당시 11사단이 벌인 학살은 뭔가 표현할 말조차 부족할 정도의 일이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의 악행이라며 없는 일도 만들어내는 북한이 거창사건에 대해서는 조용한 편인데, 이는 11사단이 벌인 양민학살사건의 주동자인 사단장 최덕신이 1986년 월북해 김일성 곁으로 갔기 때문. 이 때문에 북에선 양민학살사건을 최덕신의 젊은 날의 과오 식으로 살짝 넘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