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학

[스크랩] 팔체질별 침구 기본처방표

감효전(甘曉典) 2012. 2. 4. 18:36

팔체질별 침구 기본처방표


1) 기본방(基本方)


  간단히 본방(本方)이라고도 한다.

  각 체질에서 병근(病根)이 되는 장부의 허실을 보사 조절하는 처방이고, 시술시에는 4회 또는 5회 반복하고 병종에 따라서 보조방을 가미한다.

  기본방만 시술하여도 대부분의 병은 호전한다. 외상, 소아병에 쓰고 관절염좌와 타박상 등에 사용하면 통증이 즉시로 경감 또는 소실 치유된다. 시간이 1주일 이상 경과된 때에는 장계염증방을 가미해야 한다.

 ※ 외상, 소아병, 삔것, 고혈압, 신석증 등.


2) 활력방(法力方)


  노쇠, 원기부족, 저혈압, 내장하수, 신경통 치료에 쓰고 기본방을 4회 반복한 후에 이 활력방을 2회 가미 반복한다.

 

3) 살균방(殺菌方)


  세균 감염성질환에 사용하고 감기, 편도선염, 폐염, 뇌막염, 안질, 부비동축농증, 폐결핵, 장티푸스, 화농성피부병 화상, 기타 세균 감염에 의한 각종 질병 치료에 유효하고 급성 초기에는 2~3회의 치료로 완치될 수 있고, 이 처방의 살균 효과는 현재의 강력한 항생제보다 강한 듯하다. 만성영증에는 염증방과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본방 5회에 살균방 1회를 가미한다.

※ 세균감염성병, 폐렴, 뇌막염, 안질, 만성간염, 간경화증, 폐결핵, 화상, 기관지천식, 감기, 만성담낭, 만성후두염. 


4) 마비방(麻痺方)


  각종 마비증 즉 소아마비, 안면신경마비, 중풍마비 등에 사용한다.

  발병 후 될 수 있는한 속히 침치료를 받으면 속히 회복할 수 있으나 발병 후 1개월 이상이 경과된 예는 완전회복은 기대하기 어렵고 또 중풍으로 혼수상태가 된 환자에는 성공하는 예가 적다.

의식은 명료하고 반신이 완전히 마비된 환자를 발병 10일 이내에 침으로 치료하기 시작하여 1회의 침치료로 즉석에 상하지 운동을 하게 된 예도 있다. 기본방 4회에 마비방 2회 가미한다.

※ 소아마비, 중풍마비, 동맥경화, 안면신경 마비 등.


5) 정신방(精神方)


  간질을 제외한 정신병, 히스테리, 불면증, 두통, 신경쇠약, 신경성소화불량증, 자율신경계 이상 등에 특효가 있다. 기본방 4회에 정신방 2회 가미한다.

  팔상체질침 연구가들은 이 정신방을 화방(火方)이라고 부르는 일이 많다. 정신방 처방은 전부가 화경(火經) 즉 심경, 소장경, 심포경, 삼초경만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정신병, 히스테리, 두통,불면증, 신경쇠약, 신경성 소화불량, 자율신경계 이상 등. 


6) 장계염증방(臟系炎症方)


  비세균성 염증 치료에 쓰는 처방이고, 장계염증방(腸系炎症方)과 부계염증방(腑系炎症方)으로 구분한다.

이것은 장계(心, 肺, 肝, 脾, 腎)에 염증이 있을 때 사용하고 세균성 감염 염증에는 살균방과 교대로 사용한다.

또 관절염, 허리디스크, 골수염 치료에도 사용하고 기본방 5회에 이 방을 1회 가미한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에는 장계염증방을 전체로 2회 반복한다.

※ 장계염증, 만성신장염, 관절염, 척수염 등. 


7) 부계염증방(腑系炎症方)


  비세균성 염증 치료에 쓰는 처방이고, 장계염증방(腸系炎症方)과 부계염증방(腑系炎症方)으로 구분한다.

이것은 부계(小腸, 大腸, 膽, 胃, 肪胱)에 염증이 있을 때 사용하고 그 외에 피부병, 순환기계병, 부인병, 이비인후과병, 간질 치료에도 사용한다. 기본방 4회에 부계염증방 2회를 가미한다.

※ 부계염증, 피부병, 순환기계 병,부인병, 이비인후과 병, 간질치료, 요도염 등. 


태양인Ⅰ형 = 금음인 대장실 담허(大腸實 膽虛)

기본방

활력방

살균방

정신방

마비방

장계 염증방

부계 염증방

부  방

대장 사방

심 보방

간 보방

폐 사방

소장 보방

소장 보방

담 보방

방광보방

소해(少海), 통천(通天),

중완(中脘), 백회(百會)

 양곡(陽谷)

 양계(陽谿)

 이간(二間)

 통곡(通谷)

 태돈(太敦)

 소충(少衝)

 음곡(陰谷)

 소해(少海)

 경거(經渠)

 복류(復溜)

 태백(太白)

 태계(太谿)

 소부(少府)

 어제(魚際)

 음곡(陰谷)

 척택(尺澤)

 임읍(臨泣)

 후계(後谿)

 통곡(通谷)

 전곡(前谷)

 임읍(臨泣)

 후계(後谿)

 통곡(通谷)

 전곡(前谷)

 협계(俠繫)

 통곡(通谷)

 상양(商陽)

 규음(竅陰)

 상양(商陽)

 지음(至陰)

 삼리(三里)

 위중(委中)


태양인 Ⅱ형 = 금양인 간허 폐실(肝虛 肺實)

기본방

활력방

살균방

정신방

마비방

장계 염증방

부계 염증방

부  방

간 보방

대장 사방

위 사방

담 보방

심포 사방

폐 사방

비 사방

소해(少海), 통천(通天),

중완(中脘), 백회(百會)

 경거(經渠)

 복류(復溜)

 태백(太白)

 태계(太谿)

 양곡(陽谷)

 양계(陽谿)

 이간(二間)

 통곡(通谷)

 함곡(陷谷) 

 임읍(臨泣)

 상양(商陽)

 여태(勵兌)

 협계(俠繫)

 통곡(通谷)

 상양(商陽)

 규음(竅陰)

 음곡(陰谷)

 곡택(曲澤)

 태릉(大陵)

태백(太白)

 소부(少府)

 어제(魚際)

 음곡(陰谷)

 척택(尺澤)

은백(隱白)

태돈(太敦)

경거(經渠)

상구(商丘)


소양인Ⅰ형 = 토음인 위실 방광허(胃實 肪胱虛)

기본방

활력방

살균방

정신방

마비방

장계 염증방

부계 염증방

부  방

위 사방

간 보방

신 보방

비 사방

삼초 보방

담 보방

방광 보방

대장 보방

영도(靈道), 통천(通天),

중완(中脘), 백회(百會)

 함곡(陷谷) 

 임읍(臨泣)

 상양(商陽)

 여태(勵兌)

 경거(經渠)

 복류(復溜)

 태백(太白)

 태계(太谿)

 경거(經渠)

 복류(復溜)

 태백(太白)

 태계(太谿)

 은백(隱白) 

 태돈(太敦)

 경거(經渠)

 상구(商丘)

 중저(中渚)

 임읍(臨泣)

 액문(液門)

 통곡(通谷)

 협계(俠繫)

 통곡(通谷)

 상양(商陽)

 규음(竅陰)

 상양(商陽)

 지음(至陰)

 삼리(三里)

 위중(委中)

 삼리(三里)

 곡지(曲池)

 양계(陽谿)

 양곡(陽谷)

소양인 Ⅱ형 = 토양인 신허 비실(腎虛 脾實)

기본방

활력방

살균방

정신방

마비방

장계 염증방

부계 염증방

부  방

신 보방

위 사방

소장 사방

담 보방

심 사방

비 사방

심 사방

폐 보방

//
출처 : 우보뜸마을
글쓴이 : 우보 원글보기
메모 :

'건강 >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장경 견갑부와 두경부 9혈의 취혈방법  (0) 2012.02.04
[스크랩] 오행침  (0) 2012.02.04
[스크랩] 경락의 특징과 기능  (0) 2012.02.04
[스크랩] 오수혈이란?  (0) 2012.02.04
[스크랩] 오수혈(그림)  (0) 2012.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