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보도연맹,형무소재소자 학살사건자료

[스크랩]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김기진 지음 (부산일보 기자)

감효전(甘曉典) 2012. 1. 31. 00:13

http://news.busanilbo.com/cgi-bin/SRCH/textdisp?date=20020528&time=1023092322&sort=B&kwdstr=KW=김기진&USER=Guest139&eday=20060209

 

 

[책세상] 집단학살 비극의 역사, 현장취재로 생생히 기록

■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김기진 지음
2002/05/28 023면 09:23:22   PDF보기 |프린터 출력 |뉴스 배달서비스

사진 설명:
1949년 이승만 정권은 '좌익사상에 물든 사람들을 전향시켜 보호하고 인도한다'는 취지로 '국민보도연맹'이라는 단체를 만들었다. 가입자 수가 30여만명에 달했던 이 단체는,그러나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남한의 군·경에 의한 집단학살의 대상이 됐다.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김기진 지음/역사비평사/1만5천원)은 5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당시의 진상을 끈질긴 현장취재를 통해 파헤친 책.

부산일보 기자인 지은이는 국민보도연맹의 결성과 조직,지역별 학살 사례,1960년 국회 조사활동,유족회의 결성과 그들에 대한 군사정권의 탄압,부산·경남 유족회의 진상규명 시도 등 발족 당시의 과정에서부터 특별법 입법을 위한 최근의 노력까지 국민보도연맹 전체의 경과과정을 담아내고 있다. 그 속에는 피해자·가해자들의 증언과 당시의 언론보도,학살의 현장 답사,국회 진상위의 증언청취 속기록 등이 생생하게 기록돼 있다.

당시 국민보도연맹에 대한 학살이 남한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행해졌음에 비해 조사대상이 부산·경남 지역에 한정됐다는 점,특히 각 지역별로 대표적인 피해사례만 골라 기록해 해당지역 전체의 피해규모를 반영하지 못한 점 등은 아쉬운 부분.

그래서 지은이는 '한 개인이 학살의 진상에 접근한다는 것은 애당초 무모한 도전이었는지도 모르지만…유족들조차 사건의 진상을 너무 모르고 있었고…학계 역시 이 분야에 연구를 거의 하지 않아…더 이상 이 작업을 미루어서는 안된다는 판단이 들어서이다.…이 비극의 역사가 제대로 규명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히고 있다. 임광명기자 kmyim@

 

 

[[기사 끝]]

 

----------------------------------------------------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 보도 연맹, 김 기진 지음, 역사 비평사, 2002.5.15, 422 쪽, 15,000 원.

우리 현대사에 대량학살극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리고, 생존해 있는 관련자의 목소리를 담은 자료집. 학살현장을 돌며 유족이나 목격자들로부터 들은 증언, 1960년 국회 양민학살사건 진상조사특별위원회가 남긴 <증언청취 속기록>, 5.16쿠데타 세력이 유족회를 탄압한 뒤 그 성과물로 제작한 <혁명재판사> 등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정리했다.


제1장 국민보도연맹 결성과 조직

1. 개념 ...19
2. 중앙본부 및 전국의 조직 ...22
3. 경남도 본부 결성 ...26
4. 경남도연맹의 하부조직 ...33

 

제2장 조직확대

1. 포섭공작 ...45
2. 자수, 전향자 속출 ...60
3. 가입강제 등 변칙가입과 부작용 ...80
4. 검거 ...83
5. 연맹 탈퇴 ...84

 

제3장 학살

1. 개요 ...87
2. 6.25 발발 직후 보도연맹원들의 대응 ...89
3. 예비검속 ...94
4. 지역별 주요 학살사계 ...97
5. 보복학살 ...244

 

제4장 국회의 조사활동

1. 국회조사단 구성과 활동 ...247
2. 언론보도에 나타난 국회조사 활동 ...262
3. 증언청취 속기록에 나타난 국회조사 활동 ...268
4. 국회 진상조사의 한계성 ...272

 

제5장 유족회의 결성과 탄압

1. 개요 ...281
2. 혁명재판사에 나타난 우족회 결성과 활동 ...283
3. 언론보도에 나타난 지역별 유족회 활동 ...289
4. 군, 경과 유족의 마찰 ...305
5. 유족회에 대한 탄압 ...308

 

제6장 학살 책임자

1. 학살은 왜 저질렀나 ...313
2. 각종 기록에서 드러나는 학살 책임자 ...314
3. 지역별 학살자 책임자 ...327
4. 우익단체 ...333
5. 미국의 책임 ...338

 

제7장 진상규명 노력

1. 6.25 피학살양민 부산, 경남 유족회 ...343
2.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범국민위원회 ...343
3. 통합볍률(안) ...347
4. 전국합동위령제 및 전국유족회의 재결성 ...349
 


 

출처 : 민족 문제 연구소 부산 지부
글쓴이 : 김 경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