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여인이 절구질하고 있다.
곡식·섬 따위의 크고 무거운 것의 무게를 달 때 쓰는 계량용구 큰 것은 두 사람이 목도로 메어 단다.
벼·보리·옥수수·밀 등의 곡물과 이 외의 여러 가지 농작물을 찧는 도구로 물이 떨어지는 힘으로 돌게 만든 큰 나무 바퀴의 굴대에 방아채를 들어 돌리는 돌기를 두어 바퀴가 돌 때 마다 공이가 오르내리면서 방아를 찧는다.
벼껍질을 벗기는 현미기의 일종. 안턱에 여러 줄로 홈을 파서 만든 그릇.
벼의 껍질(왕겨)을 벗겨내는 연장이다. 위짝은 위와 아래 면을 움푹하게 파내고 그 가운데에 아래짝에 박힌 고줏대를 끼울 구멍을 낸다. 위짝과 아래짝이 닿는 양쪽 면에는 울퉁불퉁하게 홈을 내서 왕겨가 잘 벗겨지게 한다. 위짝을 좌우로 돌리면 고줏대 사이로 벼가 내려오면서 까지는데, 하루에 3~4가마의 벼를 현미로 만들 수 있다.
큰 통나무를 함지 모양으로 파고 가운데에 확을 박은 일종의 절구로 제주도에서 주로 사용였다.
굵은 통나무나 돌을 확처럼 파내서 곡식이나 양념을 빻거나 찧는데 쓴다. 만드는 재료에 따라 「나무절구·돌절구·쇠절구」라고도 부르며, 나무절구 바닥에는 울퉁불퉁한 무쇠판을 까 잘 빻아지도록 한 것도 있다. 빻는 공이는 모양이 I 자와 ㄱ 자로 된 것이 있고, 만드는 재료에 따라 「나무공이·돌공이·쇠공이」가 있다. 쇠절구는 부엌에서 양념을 빻는 데 쓴다.
돌을 파서 만든 절구. 공이는 나무공이를 쓴다.
방앗공이 밑에 달아 곡식이 잘 빻아지게 하고 또 공이가 상하지 않게 하는 부품이다. 울퉁불퉁한 돌기가 나 있는 쇠 촉이나 밋밋한 모양의 돌 촉을 공이 아래에 빠지지 않게 끼운다.
곡식이나 양념을 찧거나 빻고 쓿는 방아 연장이다. 가지가 굴로 벌어진 통나무를 다듬어 가지를 발판으로 하고, 반대쪽에 공이를 박는다. 사람이 가지를 밟으면 공이가 올라가고 놓으면 아래로 떨어지는 확 속의 곡물을 찧는다. 디딜방아는 고구려시대에도 사용되었으며, 담징이 일본에 전해 주었다. 두사람이 하루에 두 가마 정도의 벼를 찧을 수 있다.
강화군 석모도에 있던 뒷간의 모습. 크기로 보아 뒷간 겸 헛간으로 쓴 것 같다.
뒷간 옆에 있는 우리는 돼지를 키우던 곳이 아닐까?
「물지게」라고도 한다. 한팔 길이만한 나무 가운데서 널빤지를 짚으로 만든 등태를 붙여 어깨에 진다. 지게 양팔에는 물통이나 거름통을 거는 쇠고리를 달아 한 번에 50~60kg을 나를 수 있다
오줌이나 인분을 담아내는 통이며, 때로는 술이나 물을 담아 지게에 져 나르기도 한다. 옹기나 나무로 만드는데 보통 30~40리터가 담기지만, 나무로 만든 것은 70리터나 되는 것도 있다. 담는 물건에 따라「오줌장군·똥장군」이라고도 부르고, 지역에 따라서「추바리·밀통」이라고도 한다. 볼록하게 나온 배쪽에 좁은 아가리가 있으며 옹기로 만든 것은 항아리처럼 아가리가 위로 나 있는 경우도 있다.
오줌이나 인분을 담아내는 통이며, 때로는 술이나 물을 담아 지게에 져 나르기도 한다. 옹기나 나무로 만드는데 보통 30~40리터가 담기며, 나무로 만든 것은 70리터나 되는 것도 있다. 담기는 내용물에 따라「오줌장군·똥장군」이라고도 부르고, 지역에 따라서「추바리·밀통」이라고도 한다. 볼록하게 나온 배쪽에 좁은 아가리가 있으며 옹기로 만든 것은 항아리처럼 아가리가 위로 나 있는 경우도 있다.
아궁이의 재를 긁어내어 담는 바구니이다. 보리 등을 심을 때, 씨를 여기에 넣어 재와 잘 버무려 심기도 한다.
두엄을 뒤집거나 낼 때 그리고 외양간을 칠 때 사용하는 도구이며,「거릿대」라고도 한다. 가지가 셋으로 뻗은 나무를 불에 구워 날의 모양을 잡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쇠꼬챙이를 박아 만들기도 한다.
|
'각종 자료 > 우리 전통.문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상들의 멋과 슬기가 담긴 생활도구들 (4) (0) | 2012.08.16 |
---|---|
[스크랩] 조상들의 멋과 슬기가 담긴 생활도구들 (3) / (0) | 2012.08.16 |
[스크랩] 조상들의 멋과 슬기가 담긴 생활도구들 (1) (0) | 2012.08.16 |
[스크랩] ★★ 한국의 담장 / (0) | 2012.08.16 |
[스크랩] 한국 전통의멋 장신구 (노리개) 2 / (0) | 201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