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의학적으로 뇌졸중은 크게 뇌의 혈관이 막혀서 특정 부위에 혈액순환이 안되어 나타나는 '허혈성 뇌졸중'과 뇌출혈에 의한 '출혈성 뇌졸중'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은 어느 시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어떤 활동 중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잠자던 중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두가지 부류의 뇌졸중 중 대체적으로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 비율이 더 높은 편이며, 이는 '동맥경화증'과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혈성 뇌졸중]
- 동맥경화증이 진행되면 뇌의 혈관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면서 그 내경이 좁아지며, 이에 의해 뇌혈관이 막혀서 뇌혈류가 차단되어 뇌졸중이 발생합니다.
- 허혈성 뇌졸중은 또한 신체 다른 부위, 특히 심장 및 그 주변 기관에서 혈전(혈관내 혈액응고물)이 발생하여, 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의 혈관을 막는 '뇌색전증'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심장질환(심장판막증 등)환자에서 자주 발생하는 뇌졸중의 발생기전입니다.
- 혈전이외에도 혈관 내의 기타 노폐물 등이 뇌혈관을 막아서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그 혈액순환 장애에 따라서 '완전 허혈'과 '부분 허혈'로 분류할 수 있으며, 완전 허혈시에는 뇌 국소부위의 혈액순환이 완전히 차단되어 뇌의 일부분이 죽는 현상, 즉 '뇌경색'이 발생하게 됩니다. 뇌경색 부위는 그 기능을 되살릴 수 없으며, 따라서 뇌경색에 의한 장애는 영구적으로 남게 됩니다.
부분 허혈의 경우에는 조속히 뇌혈류를 복원시켜 주면 뇌세포의 사망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그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뇌졸중에 대한 치료는 바로 '부분 허혈'부위를 되살리는데 그 촛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은 일단 발생하면 방치하여 두는 경우 점차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악화를 막는 것도 뇌경색 치료의 중요 목표입니다.
[뇌졸중의 증상은?]
원인에 관계없이 뇌졸중은 갑작스런 신경기능의 장애로 나타납니다.
뇌졸중시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 갑작스러운 두통 및 구토
- 반신마비 혹은 신체일부의 마비, 신체일부의 감각마비 혹은 소실
- 언어장애(실어증 혹은 발음장애)
- 안면신경장애
- 운동실조(사지 및 신체의 움직임을 원활히 조절할 수 없는 상황)등이 있습니다.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초기에는 이러한 증상들이 경미하게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며(일과성 뇌허혈 발작 : TIA), 방치할 경우 더 심한 영구적 장애를 남기는 뇌졸중이 조만간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뇌졸중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게 되지만 뇌혈관의 이상은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뇌동맥류 혹은 뇌동정맥기형으로 인한 뇌출혈을 제외하고는, 혈관의 병이 진행하여 혈관이 견디지 못할 정도가 되면 터지거나 막히게 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래의 사항은 뇌졸중의 위험성을 높이는 위험인자에 속합니다.
-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등이 있는경우
- 이전에 뇌졸중의 경험이 있는 경우
- 가족 중 뇌졸중 환자가 있는 경우 폐경기 전의 여성은 남성보다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나 폐경기 이후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 혈액내 콜레스테롤이 높은 경우
- 흡연 및 음주, 비만, 신체적 활동이 적은 경우 등
[특수검사]
뇌혈관 질환의 정확한 진단에 크게 도움이 되는 여러 진단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뇌혈류 도플러 초음파검사(Doppler Ultrasonography)
- 뇌전산화 단층촬영(CT)
- 뇌핵자기공명촬영(MRI)
- 뇌혈관촬영(Angiography)
- 단일광자방출 전산촬영(SPECT)
-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뇌의 혈관에 장애가 생겨 일어나는 몇가지 질환의 총칭, 즉 뇌혈관의 병적 과정에 의해 급격하게 그것에 대응하는 국소적인 정신, 신경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뇌의 활동은 뇌동맥을 통하여 들어오는 혈액에 의해 산소와 공급받아 운영되는데, 특히 뇌조직은 산소 부족에 약해서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면 해당 부분의 뇌활동이 정지되고, 시간이 지나면 돌이킬 수 없는 괴사를 일으킨다. 산소공급이 3초간만 막혀도 뇌조직은 크게 지장을 받는데, 5분이상 계속될 때는 괴사되어 식물 상태로 빠지기 쉽다. 이렇게 뇌활동을 뒷받침하는 동맥에 이상이 생겨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면, 침해된 부위에 따라서 말을 못하거나 수족이 마비되고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을 폭넓게 보아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뇌혈관 발작(cerebrovascular accident)과 거의 같은 동의어로 쓰이는데, 중증질환으로서의 의미가 더 강하다. 졸증이란 말은 무엇에 얻어맞아 나가 떨어진다는 뜻으로 줄중풍을 줄인 말이다. 이 증상이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뇌일혈)에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뇌졸중과 뇌출혈을 같게 보는 경우가 있으나, 졸중이라는 말에는 출혈의 뜻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뇌졸중의 원인이 되는 뇌순환장애에는 핍혈(oligemia)과 출혈이 있다. 핍혈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생기지만 출혈은 갑자기 생기기 쉽다. 핍혈증에는 뇌혈전(cdrebral thrombosis), 뇌색전 (cerebral embolism)을 포함하는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있다. 그리고 출혈에는 뇌실질내수택 (intracerebral hemorrhage:뇌출혈), 거미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을 포함하는 두개 강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이 있다. 그밖에 일과성 뇌허혈발작(transient cerebral ischemic attack), 고혈압성 뇌증(hypertensive encephalopathy)등이 있다. 병기에 따라 1)초기졸중(incipient stroke) 또는 절박졸중(impending stroke), 2)진행졸중(progressing stroke) 3)완전졸중(completed stroke)등으로 분류된다.
사망 통계에 의하면 뇌졸중이 사망 원인으로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뇌실질 내출혈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뇌혈전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뇌출혈 때문에 생기는 갑작스런 뇌졸중이 많다. 뇌출혈은 40세 이상에서 갑자기 증가되고, 50-60세층이 가장 많다. 뇌색전은 젊은층에 많고 뇌혈전은 나이가 많아 질수록 그 빈도가 높아진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같은 순환기병이라 해도 협심증(angina pectoris:cardiagra) 이나 심근경색 증(myocardial infarction)이 많았고,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는 뇌출혈로 인한 뇌졸중이 흔한 편이었다. 특히 고혈압이 오래 계속된 사람에게 뇌출혈이 잘 일어나는데, 뇌동맥의 일부가 터져서 주위에 넘쳐 흐르게 되면 새로 나온 혈액 때문에 뇌조직이 압박을 받아 뇌활동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뇌졸중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혈압이 높으면 뇌동맥압도 높아져 파열될 위험이 높다. 최근에는 식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뇌동맥의 아테롬성경화(중)(atheros- clerosis)으로 인한 뇌졸중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치 료]
뇌졸중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고, 급성기와 만성기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어느 경우이든 기도 유지와 호흡, 맥박, 체온, 혈압, 의식수준 등의 생체징후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뇌경색의 급성기에서 뇌부종에 대한 대책으로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주사하며, 혈전용해제도 사용한다. 뇌출혈중 외출형, 소뇌출혈등은 신경외과적 치료의 대상이 되고, 그밖의 경우는 내과적으로 뇌압을 내리는 치료를 행한다. 급성기 뇌졸중에서는 혈압조정, 감염등의 합병증 예방, 탈수, 요폐(urinary reten- tion)등에 대해서도 주의해야 한다. 48시간동안 신경학적 병변진행이 없으면 재활(rehabilitation)치료를 한다. 일과성 뇌허혈 발작에는 아스피린(aspirin), 디피리다몰(dipyridamole), 티클로피딘(ticlpidine)등 혈전형성을 예방하는 약물이 쓰인다. 고혈압성 뇌중이 원인일 때는 혈압강하제를 쓰고, 경련을 동반 한 경우는 페니토인(phenytoin)등의 항경련제를 쓴다.
[예 후]
뇌졸증의 예후는 18%는 죽고 9%에서는 완전회복이 되며 73%에서 재활치료를 필요로 한다. 신경회복은 3개월 이내에 90%이상이 돌아온다. 특히 생명에 관계되는 것으로는 뇌출혈이 가장 나쁘다. 목숨을 건진 사람들 중에서 운동마비가 회복되는 비율이 뇌출혈에 의한 뇌졸중 쪽이 비교적 높고, 뇌혈전이나 뇌색전에 의한 뇌졸중은 완전히 회복되거나 전혀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재발되는 빈도는 뇌혈전, 뇌색전 등의 뇌경색 쪽이 높다.
뇌의 핏줄이 터지거나 막혀서 갑자기 의식을 잃고 혼수 또는 반신불수를 비롯한 여러 가지 신경마비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뇌졸중은 뇌출혈이나 뇌혈전, 뇌전색에 의하여 일어난다. 뇌출혈은 주로 고혈압병환자들이 뇌의 핏줄이 터져서 생기는 것으로 비교적 나이가 40대 이상 되는 사람들에게서 많다. 뇌혈전은 뇌동맥경화가 원인으로 되어 핏줄이 막혀 뇌의 피가 흐르지 못하여 생기는 것으로 비교적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서 본다. 뇌전색은 심장병을 비롯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핏줄 안에 이물이 들어가 막혀 뇌의 피가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러한 경우는 젊은 나이에도 생기고 늙은이들은 심장병이 있는 사람에게서 생긴다.
뇌졸중은 전구증상이 나타난다. 뇌출혈이 생기기 전에 뒷머리가 아프고 어지럽고 게우며 코피가 날 때도 있다. 뇌출혈이 되기 시작하면 갑자기 의식을 잃고 손발이 늘어지며 입이 비뚤어진다. 심해지면 얼굴색이 벌개지고 눈에 핏발이 서며 때로는 얼굴색이 새하얘지기도 한다. 환자는 코를 골면서 자는 경우도 있다.
혼수상태에 있을 때 눈을 보면 그 어딘가를 뚫어지게 보고 있다. 더 심하면 높은 열, 경련이 일어나며 땀을 흘린다. 경한 경우에는 몇 시간 지난 다음에 의식이 회복된다. 뇌혈전은 뇌출혈 때와 같이 발작이 급격하지 않다. 단계식으로 발, 손, 입의 순서로 마비가 오며 의식장애도 심하지 않고 혼수상태에 빠지는 일도 적다. 뇌전색은 뇌출혈보다 더 갑자기 발작이 생겨나 의식상실은 뇌출혈보다 경하고 또한 의식을 완전히 잃을 때가 드물다. 이상과 같은 증상들은 전형적인 때의 증상들이며 3가지를 서로 구분하기 힘들 때가 많다.
[구급대책]
1. 발작이 일어난 곳에서 원칙적으로 옮기지 않는 것이 좋다. 옮겨야 할 때에는 머리를 움직이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단추와 혁대는 풀어주며 얼굴이 붉을 때는 점차 머리를 높여주고 얼굴이 새하얘질 때는 머리를 점차 낮추어준다.
2. 머리, 목, 가슴에 얼음 또는 찬물에 적신 수건을 대준다. 이때에도 얼굴이 희면 대지 않고 붉어졌을 때만 대준다. 이와는 반대로 손발을 따뜻하게 덥혀준다. 게울 때에는 얼굴을 옆으로 돌리고 게우게 하여야 하며 호흡이 멎었을 때에는 인공호흡을 하여야 한다.
[약물치료]
1. 사향:
의식이 있을 때에는 사향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0.2-0.3g을 참깨기름 또는 콩기름 등에 풀어서 먹이며, 의식이 없을 때에는 사향가루를 콧구멍에 불어 넣는다. 사향은 뇌 부활작용이 있으므로 의식을 잃고 넘어진 급성기에 쓴다.
2. 참깨, 은조롱, 쇠무릎풀:
은조롱과 쇠무릎풀을 쪄서 말린 것과 참깨 각각 같은 양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로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6-8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참깨는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며, 은조롱은 다리와 무릎의 맥이 없는 것을 든든하게 하며, 쇠무릎풀은 피를 잘 돌게 한다. 그러므로 이상의 약들은 뇌출혈을 한 다음 반신불수가 되었을 때 쓰면 좋다.
3. 오갈피(오가피), 쇠무릎풀(우슬):
오갈피 25g, 쇠무릎풀 15g을 한데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하루 3번 먹는다. 오갈피는 보약일 뿐 아니라 힘줄과 뼈가 약하여 다리를 쓰지 못하거나 아플 때에 쓴다. 이와 같은 작용은 쇠무릎풀과 같이 쓰면 더 세게 나타난다. 뇌출혈로 다리와 팔이 마비되어 잘 쓰지 못할 때에 쓴다.
4. 홰나무꽃(괴화):
하루 15-20g씩 물에 달여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홰나무열매도 쓸 수 있다. 열매는 약간 볶아서 가루내어 한번에 2-3g씩 하루 3번 먹는다. 홰나무꽃과 열매는 루틴이 많은데 이것은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어 모세혈관에서 피가 나는 것을 막는 작용을 한다. 이 약들은 주로 뇌출혈의 예방약으로 쓸 수 있으나 일단 뇌출혈이 된 다음 다시 뇌출혈되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쓴다.
5. 생열귀나무열매:
가루낸 것을 한번에 2-5g씩 하루 3번 먹는다. 열매 속에는 여러 가지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천연종합 비타민제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열매의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는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며 핏줄의 견딜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뇌출혈의 예방과 치료에 쓰인다.
6. 천마:
끓는 물에 데쳐서 햇볕에 잘 말려 가루낸 것을 한번에 2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물에 타서 먹는다. 머리가 아프고 마비가 온 데 쓴다. 두충, 쇠무릎풀, 강호리, 당귀와 같이 쓰면 팔다리 마비가 잘 풀린다고 한다.
'건강 > 뇌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한 알 아스피린을 복용하라 (0) | 2011.12.15 |
---|---|
[스크랩] 뇌졸증을 알리는 징조 (0) | 2011.12.15 |
뇌허혈발작, 갑작스레 마비 오다 금세 ‘멀쩡’…건강 상식만 지켜도 예방 가능 (0) | 2011.12.14 |
[스크랩] [일산 무지개요양병원]치매환자 대응방법 (0) | 2011.12.14 |
[스크랩] [일산 무지개요양병원]뇌졸중 생활습관 (0) | 2011.12.14 |